美국무부도 中무력진압 가능성에 "깊이 우려…모두에 폭력 자제 촉구"
무력진압 따른 사태 악화 경계…中의 '美배후론' 강력 반박·中책임 강조
"中과 홍콩의 일"에서 "잘 해결되길"로 부분 선회한 트럼프 입장 따른 듯
(워싱턴·서울=연합뉴스) 백나리 특파원 강건택 기자 = 미국이 중국에 홍콩 시위 무력진압을 자제하라며 '제2의 톈안먼(天安門)' 사태를 일으키지 말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14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의 시사평론가 그레타 밴 서스턴과 인터뷰를 하고 "중국은 자신들이 취할 조치를 매우 신중히 봐야 할 것"이라며 "왜냐면 미국은 톈안먼 광장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줄지어 선 탱크 앞에 선 남자의 사진을 기억하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던 중국인들의 목소리를 기억하며, 1989년 중국 정부의 탄압을 기억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중국 정부가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시위를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무자비하게 유혈 진압한 일을 최근 홍콩 시위에서 되풀이하지 말라고 강하게 압박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최근 홍콩에서 가까운 선전에 군용 차량이 대기 중인 사진을 공개하는 등 무력진압 가능성을 시사했다.
볼턴 보좌관은 "홍콩에서 그와 같은 새로운 기억을 만드는 것은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중국 정부에 메시지를 날렸다.
그러면서 "의회의 분위기도 매우 들끓고 있다"며 "중국 정부가 하나의 실수라도 한다면 아마 미국 의사당의 폭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미 국무부도 홍콩 시위 격화와 중국의 무장 공권력 투입 가능성에 대한 연합뉴스의 서면질의에 "미국은 홍콩 접경에서 중국이 준군사적(paramilitary) 움직임을 보인다는 보도가 나오는 데 깊이 우려한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대통령이 언급했듯이 우리는 모든 쪽이 평화적으로 관여하고 폭력을 자제하기를 촉구한다"면서 "우리는 폭력을 규탄하고 모든 쪽에 자제 발휘를 촉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중국의 무력개입으로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악화하지 않도록 중국 및 홍콩 시위대 양측에 주의를 당부한 셈이다. 중국이 제기하는 '미국 배후론'에 대해서도 허위라면서 홍콩 시위의 원인이 중국 당국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국무부는 또 "홍콩의 평화적 집회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해 확고한 지지를 유지한다"고 밝혀 '평화적 집회'를 유지해달라고 시위대에 간접 당부했다.
이어 "미국은 중국에 홍콩이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도록 하는 홍콩반환협정을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중국과 모든 쪽이 홍콩인의 자유와 홍콩의 높은 자치권을 존중하는 해결책을 추구하기를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국무부는 "시위 배후에 외국 세력이 있다는 허위주장을 명확히 거부한다"면서 "홍콩의 자치권에 대한 계속된 침식이 국제문제에서 긴 시간 확립된 (홍콩의) 특별지위를 위험에 처하게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콩 시위 이후 국무부가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중국군의 무력진압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중국과 시위대 모두에 자제를 촉구하며 사태 악화를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무력개입 가능성과 관련, '중국의 준군사적(paramilitary) 움직임'이라는 표현을 통해 중국의 본격적 병력 투입에 거리를 두고 상황 악화를 경계하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다만 중국의 '미국 배후론'을 겨냥해서는 허위로 규정하며 단호한 입장을 보이면서 홍콩 시위 촉발의 근본적 책임이 중국에 있음을 강조했다.
국무부의 이러한 입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중국을 포함해 모두에게 잘 해결되길 바란다"면서 "아무도 다치지 않기를 바란다. 아무도 목숨을 잃지 않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피력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중국군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 "중국과 홍콩 간의 일이고 스스로 처리해야 할 것"이라며 거리를 두다가 중국당국의 무력진압 가능성을 점치는 보도가 잇따르자 원만한 해결을 간접 당부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국무부는 홍콩 시위 관련자들과 만나는 홍콩 주재 미국 영사의 사진이 공개되고 중국 매체에 해당 영사의 신원이 공개되자 지난 8일 중국을 겨냥해 "폭력배 정권"이라며 맹공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 따라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사태 해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는 않는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 하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이날 보도했다.
한 당국자는 "톈안먼 사태가 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협상보다 홍콩 시위 사태에 덜 관심을 보이는 것 같다고 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na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