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석탄 발전 비중 작년보다 소폭 하락…원자력은 늘어
(세종=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지난해 석탄 소비량이 늘어난 것은 기존에 인허가된 석탄화력발전소 증설로 인한 것이지 에너지전환정책(탈원전 정책)과는 무관하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해명했다.
또 올해 상반기 석탄 발전 비중은 지난해보다 4%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뤄진 대규모 원자력발전소 정비가 끝나면서 원자력 발전 비중은 늘어났다.
산업부는 20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난해 석탄 소비가 늘어난 것을 원전 가동 감소와 연관 짓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영국 에너지그룹 BP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석탄 소비량은 전년 대비 2.4% 늘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석탄 소비량이 늘어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원전 발전 비중이 줄면서 상대적으로 석탄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전 발전량이 줄어든 것은 과거 건설된 원전 부실시공을 보수하기 위해 원전 정비일수를 늘렸기 때문"이라며 "감소분은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했다"고 반박했다.
또 지난해 석탄발전량은 239.0TWh(테라와트시)로 전년보다 0.08%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밝혔다.
발전 증가분 역시 과거 정부에서 인허가된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11기가 새로 진입했기 때문이지 탈원전과는 관련이 없다고 덧붙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2017, 2017년보다 2018년 석탄발전량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나 적극적인 석탄발전 미세먼지 감축 대책으로 석탄발전 배출 미세먼지는 2016년 대비 25.5%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1∼6월 석탄 발전 비중은 37.7%(잠정치)로 지난해 상반기 41.7%보다 4%포인트 감소했다.
대신 석탄과 함께 기저 발전원으로 꼽히는 원자력은 21.5%에서 28.8%로 7.3%포인트 상승했다.
원자력 발전 비중이 크게 늘면서 대체 전력원 역할을 하는 액화천연가스(LNG) 비중은 28.9%에서 25.3%로 감소했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은 6.1%에서 6.7%로 소폭 증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상반기 중 노후 석탄발전소 폐지, 봄철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정지, 봄철 계획예방정비 집중 시행,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상한 제약 등을 시행한 결과 석탄 발전 비중이 지난해보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1월 영동 석탄화력발전소 2호기를 폐쇄하고 노후 발전소 4기의 봄철 가동을 중단했다. 또 총 60기 중 48기의 예방정비를 지난 3∼5월 집중적으로 시행했다.
산업부는 전력거래소와 사전 계약한 기업이 전기사용이 집중되는 피크 시간대 전기사용을 줄이면 정부가 보상하는 제도인 '수요자원(DR)'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DR은 공장, 빌딩 등의 전기소비자가 전력수요가 높을 때 전력 소비를 줄여 적정한 예비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해는 날씨 상황이 좋아서 DR을 발동할 계획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현행 제도 운용에서 일부 제약이 있어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조만간 개선방안이 만들어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