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예산] 'D·N·A+BIG 3'에 4.7조원 투자…혁신성과 앞당긴다

입력 2019-08-29 09:00  

[2020예산] 'D·N·A+BIG 3'에 4.7조원 투자…혁신성과 앞당긴다
바이오헬스 1조3천억, 미래車 1조5천억…2배 빠른 충전, 600㎞ 주행 목표
'미래 인재 양성' 대학교육 개선에 11조5천억원 투입…AI대학원 8곳으로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정부가 4차 산업혁명 핵심 플랫폼과 관련 산업에 내년 4조7천억원을 투입한다.

기획재정부가 29일 발표한 '2020년 예산안'을 보면 정부는 내년 'D·N·A + BIG 3' 분야에 4조7천억원을 투자한다. 올해보다 1조5천억원이 더 투입되는 셈이다.
D·N·A는 데이터(D)·5G 네트워크(N)·인공지능(AI·A)을 뜻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 플랫폼인 D·N·A 분야에는 총 1조7천억원의 예산이 사용된다.
데이터 분야에는 448억원을 들여 이미 구축한 10개 빅데이터 플랫폼·100개 센터를 통해 생산과 활용을 촉진하고, 플랫폼 간 연계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AI 생태계 확충에 762억원을 투입해 지능정보 산업인프라를 조성한다. 딥러닝 등 AI 기술의 기술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연구개발(R&D)도 추진한다.
데이터와 AI의 융복합을 위해 인공지능 융합 집적단지를 462억원을 들여 조성한다. 여기에는 AI연구개발을 위한 데이터센터, 실증 시설 등 인프라가 구축된다.
정부는 산업간 융·복합 촉진 신경망을 촘촘히 하기 위해 5G에 내년 6천억원을 쓴다.
5G 핵심·선도기술을 재난·사회간접자본(SOC) 관리 등 공공서비스 개선 분야에 적용하는 시험 프로젝트를 확대한다.
서울 동대문에 가상현실(VR) 쇼핑몰을 구축하는 등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 개발을 지원한다.
5G 기반 서비스 창출 기업이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보안 인프라, 시험·실증 테스트 베드 조성 등을 131억원을 들여 지원한다.

BIG3 분야는 시스템 반도체·바이오 헬스·미래자동차 분야를 뜻한다. 이 분야 생태계 조성을 위해 내년 3조원을 투자한다.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반도체 생산시설 없이 설계·개발만 수행하는 전문 기업인 '팹리스' 성장 생태계를 조성한다.
관련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 개발에 내년에만 891억원을 투입한다. 중소 팹리스 기업지원을 위한 반도체 설계 지원센터를 성남 판교에 조성한다.
바이오 헬스와 관련한 투자처는 의료 빅데이터, 신약·의료기기 개발이다. 투자금은 내년 총 1조3천억원이다.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개시한다. 내년에는 시범으로 1만명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의료 데이터 중심 병원을 5개소 지정하고, 빅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개발해 진료와 연구 역량을 높인다.
글로벌 바이오 헬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선도제품 개발과 사업화 지원에 내년에만 938억원을 투입한다.
미래자동차에 대해선 성능향상 R&D, 실증 인프라 구축을 위해 1조5천억원을 넣는다.
충전 속도 2배, 주행거리 600㎞ 이상으로 전기·수소차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390억원을 투입한다.
자율차 테스트베드(K-city)를 고도화하는 예산을 올해보다 5배 이상 많은 144억원을 지원한다.
전기차(7만1천대)·수소차(1만대) 보급, 전기급속충전기(1천500기)·수소충전소(53개소) 확충 목표 등을 달성하는데 1조1천억원을 쏟는다.
이와 더불어 '수소 경제 플랫폼'을 조기에 구현하기 위해 140억원을 들여 수소도시 3곳 구축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정부는 미래형 창의 인재를 배출할 수 있는 대학교육 개선에는 총 11조5천억원을 투자한다.
학부 교육을 미래사회 핵심역량 중심으로 개편하는 대학혁신사업을 확대하는 데 올해보다 1천267억원 많은 6천955억원을 쓴다.기초학문·미래유망분야 고급인재 양성을 위한 BK21 플러스 사업을 확대 개편한다.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해 거점 국립대 9곳, 지역 중심대 등 30곳에 교육·연구기반 강화를 지원한다.
미래 산업 수요 대응을 위한 직업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전문대학 혁신지원에 올해보다 1천억원 늘린 3천908억원을 쏟는다.
정부는 대학교육과는 별도로 맞춤형 혁신 미래 인재 4만8천명을 양성하는 데 총 6천억원을 투자한다.
AI 대학원을 8곳으로 확대하는 등 AI·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BK21 사업 안에 6천400명 규모의 '혁신성장 선도인재 양성형'을 신설하는 등 정규 교육 과정 지원 사업을 4차산업 맞춤형으로 전환한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