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및 사우스·노스캐롤라이나 강타 예상…"강풍·호우·해일 우려"
6일 버지니아주까지 영향…21만가구 정전·대규모 휴교·인명피해도
![](https://img.yonhapnews.co.kr/photo/reuters/2019/09/05/PRU20190905271001848_P2.jpg)
(워싱턴=연합뉴스) 임주영 특파원 = 카리브해 섬나라 바하마를 초토화한 뒤 미국 남동부를 향해 북상하며 한때 3등급으로 세력을 키웠던 허리케인 도리안이 5일(현지시간) 다시 2등급으로 다소 세력이 약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강한 바람과 폭우를 뿌리며 이동 중인 도리안은 조지아주와 노스·사우스캐롤라이나주 등 미 남동부 해안을 강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은 강풍과 홍수, 폭풍 해일로 인한 피해 대비를 강화했다.
AP와 로이터 통신,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NHC)는 이날 오전 11시 기준으로 도리안이 3등급에서 2등급 허리케인으로 약화했다고 밝혔다.
도리안 중심부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서 동쪽 약 50마일(80㎞) 떨어진 곳에서 시속 8마일(13km)로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최고 풍속은 시속 110마일(175km)이다.
허리케인급 바람은 중심부에서 60마일(95㎞)까지 확장됐고, 열대성 폭풍우급 바람은 중심부로부터 195마일(315㎞)까지 뻗어 나간 상태라고 NHC는 설명했다.
AP는 도리안의 등급이 한 단계 내려갔지만 사우스·노스캐롤라이나 해안을 따라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면서 "여전히 충분히 강력하다"고 전했다.
미 국립기상청(NWS)은 찰스턴과 사우스·노스캐롤라이나 해안 일부 지역에 수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30㎝의 비가 올 수 있다고 예보했다. 이들 해안에는 허리케인 경보가 발령된 상태다.
CNN에 따르면 도리안의 영향으로 조지아와 노스·사우스캐롤라이나 등 3개 주에서는 21만1천여곳 이상의 가구와 사업체가 정전 피해를 입었다.
정전 지역은 사우스캐롤라이나 20만3천600여곳, 노스캐롤라이나 1만여곳, 조지아 7천여곳으로 파악됐다.
노스캐롤라이나주는 약 500명의 주방위군을 투입해 피해 대비에 나섰다. 이 지역에서는 45개 교육구(school district)가 휴교에 들어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83만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고 조지아에서도 수십만명이 대피 경고를 받았다.
도리안이 조지아주를 지나면서 조지아 해안 카운티에 내려진 강제 대피령은 해제됐다고 CNN은 전했다.
한편 플로리다와 노스캐롤라이나에서는 허리케인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두 명이 숨졌다고 AP는 전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ap/2019/09/06/PAP20190906008301848_P2.jpg)
도리안은 북상하면서 영향 범위가 더 넓어졌고 이날 오전 사우스캐롤라이나, 오후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해안선을 따라 시속 90∼100마일(145~161㎞)의 돌풍이 불고 노스캐롤라이나의 아우터뱅크스에는 최대 15인치의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WP는 전했다.
만약 내륙에 상륙한다면 아우터뱅크스가 유력한 지점으로 예상된다고 WP는 설명했다.
도리안은 6일 오전까지 노스캐롤라이나를 강타하고 버지니아 남동부까지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조지아부터 버지니아 남동부까지 해안가에는 최소 2∼4피트(0.6~1.2m), 곳에 따라 최고 8피트(2.4m)에 이르는 폭풍 해일의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도리안은 6일 오후까지 버지니아와 델라웨어, 메릴랜드 지역까지 폭우와 열대성 폭풍 등으로 인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WP는 전망했다.
z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