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샤주에 韓 경제사절단 환영 초대형 현수막…연방정부는 법인세 인하 및 기업환경 개선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9/23/AKR20190923058800077_01_i.jpg)
(부바네스와르[인도]=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경제 둔화에 시달리는 인도가 외국기업 투자 유치 총력전에 나섰다.
연방 정부는 연일 파격적인 기업 지원책을 내놓고 있고, 주(州) 정부는 각 지역의 장점을 앞세워 외국 기업에 구애하는 모양새다.
최근 가장 적극적으로 기업 유치에 나선 주 중의 하나가 인도 동부 오디샤주(州)다.
오디샤주 부바네스와르 공항 인근에는 최근 신봉길 주인도대사의 얼굴 사진과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기아차 등의 로고가 포함된 초대형 현수막이 걸렸다.
지난 22일부터 사흘간 이곳을 찾는 한국 경제사절단 '카라반'을 환영하기 위해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9/23/AKR20190923058800077_04_i.jpg)
오디샤 주는 아울러 경제사절단 유치를 위해 한글로 된 홍보 책자도 자체 제작했다.
이 책자에는 오디샤의 인프라 등 비즈니스 환경과 함께 타타스틸, 코카콜라, 인디언 오일 등 현지에서 활동하는 주요 기업 소개 내용이 담겼다.
인도의 개별 주가 영어가 아닌 한글 책자를 제작해 한국 기업 유치에 공을 들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오디샤는 인도 광물 매장 중심지로 특히 니켈은 인도 전체의 92%가 매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숙련된 인력이 풍부하고 전기요금이 다른 주보다 비교적 싼 것도 기업에는 매력적인 요소로 꼽힌다.
아울러 부바네스와르는 최근 첨단 스마트시티로 거듭나며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오디샤는 한국 기업에 포스코가 120억달러(약 14조3천억원) 규모의 제철소를 설립하려다 좌절된 곳으로 각인돼 선뜻 투자하기 어려운 곳으로도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오디샤주는 포스코의 투자를 성사시키지 못한 뒤 내부적으로 상당히 후회한 것으로 안다"며 "최근 들어 기업 유치와 관련한 분위기가 적극적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9/23/AKR20190923058800077_05_i.jpg)
이런 분위기는 연방 정부의 태도에서도 읽히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연방 철강부가 직접 나서서 한국 철강업계에 합작 투자를 요청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한국 업체가 국영기업인 SAIL, RINL 등과 합작한다면 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 해안에 자리 잡은 비사카파트남 지역의 부지 3천 에이커(약 12.1㎢)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지는 현지 RINL 공장의 유휴부지라 땅 매입을 둘러싼 번거로운 절차는 이미 마무리된 셈이다.
그러자 안드라프라데시 외 다른 주 한두 곳도 부지 제공 등의 메리트를 제시하며 합작 투자 유치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인도 정부는 최근 인도 경제성장률이 주춤해지고 소비가 크게 위축되자 경기 부양을 위해 지난 20일 현재 30% 수준인 기업 법인세율을 25.2%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주식양도 소득 관련 증세 및 '슈퍼리치' 증세 방침을 철회하면서 자동차 산업에 대한 대규모 지원책도 제시했다.
이어 인도 정부는 수출기업 지원, TV 핵심 부품 수입 관세 폐지 등 경제 활성화 대책을 연일 쏟아내는 분위기다.
이에 발맞춰 인도중앙은행은 인도 연방정부에 1조7천600억루피(약 29조5천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했고, 금리도 올해 4번이나 인하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9/23/AKR20190923058800077_02_i.jpg)
최근 조치 중에는 다음 달 2일부터 시작되는 봉투·컵·빨대 등 일회용 플라스틱 용품 사용 금지 정책처럼 기업에 부담이 되는 것도 있다.
유통 분야 기업 입장에서는 플라스틱 대신 다른 대체재를 투입하는데 비용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이런 정책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제2금융권 대출 규제 강화, 고액 현금 거래 시 고율의 원천징수 부과 등의 조치도 단기적으로는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는 조치로 여겨진다.
교통 범칙금을 최대 10배 이상 올린 것과 관련해서는 운수업계가 파업까지 벌이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정책도 결국 악명 높은 현지 기초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금융 거래를 투명하게 해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조치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무역협회 뉴델리지부 관계자는 "인도 정부는 이를 통해 자국 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선진국 수준의 경영 활동 환경을 구축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 같은 인도 정부의 노력 결과로 건축, 실내 인테리어, 디지털 콘텐츠, 산업용 설비기자재 등을 취급하는 한국 중소·중견기업의 인도 진출 문의가 최근 늘었다"고 덧붙였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