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돼지 4마리 유산 증상·1마리 폐사…3㎞내 3천200여마리 살처분 대상
경기도 파주서 또 의심신고…정밀검사 결과 내일 나올듯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9/23/PYH2019092304530006500_P2.jpg)
(세종=연합뉴스) 박성진 이신영 이태수 기자 = 경기도 김포 통진읍의 한 양돈농장에서 23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이 확진되면서 한강 이남으로 치명적인 돼지 전염병이 확산했다.
지난 17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국내 처음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된 후 18일 경기 연천군에서 추가 발병한 데 이어 일주일 사이 세 번째 발생이다.
'한강 이남' 김포서도 돼지열병…일주일새 3곳 발생해 방역 비상 / 연합뉴스 (Yonhapnews)
경기도 3개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면서 치사율 100%에 이르는 이 전염병이 경기도 북부에서 남쪽으로 확산의 방향을 잡은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이날 오후 6시 30분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자장리의 한 양돈 농가에서 추가로 의심 신고가 또 접수돼 우려를 더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오전 김포의 한 양돈농장에서 모돈(어미돼지) 4마리가 유산 증상을 보여서 정밀 검사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양돈농장의 다른 방에서는 모돈 한 마리가 임신해 배가 부른 상태에서 폐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강 이남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첫 사례다.
김포 농장은 앞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된 파주 농장으로부터 약 13.7㎞, 연천 농장으로부터 45.8㎞ 각각 떨어져 있다.
김포 농장은 모돈 180마리를 포함해 돼지 1천800마리를 기른다.
김포 확진 농장의 반경 500m 내에는 이 농장을 포함해 3곳에서 돼지 2천700마리를, 범위를 3㎞를 넓히면 총 8개 농장에서 약 3천275마리를 사육 중이다.
농식품부는 발생농장으로부터 500m 이내 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를 살처분하도록 규정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긴급행동지침(SOP)'보다 살처분 범위를 확대해 3km 내 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를 살처분하고 있다.
기존 관례대로 살처분하면 이번 김포 농장까지 포함할 때,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총 2만 마리가량을 살처분하게 된다.
방역 당국은 김포의 해당 농장에 초동방역팀을 투입해 사람·가축·차량 등을 이동 통제하고, 소독 등 긴급 방역 조치에 들어갔다.
이날 저녁 의심 신고가 접수된 파주 농가의 경우, 어미돼지 3마리가 유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농가는 경기도 연천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농가에서 6.9km 떨어져 있으며 어미돼지 200마리를 포함해 돼지 2천300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이 신고가 확진되면 국내 네 번째 발병 사례가 된다. 방역 당국의 정밀검사 여부는 24일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9/09/23/GYH2019092300140004400_P2.jpg)
김포의 확진 농장과 파주의 의심 신고 농장은 모두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관리지역인 6개 시·군에 포함된다.
중점관리지역에 있는 농장은 3주간 다른 지역으로 돼지를 반출할 수 없고, 지정된 도축장 4곳에만 출하할 수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백신과 치료 약이 없으며 치사율이 100%에 이르는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방역 당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이미 확진된 파주와 연천 2개 농가와 역학관계가 있는 농장을 대상으로 한 정밀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파주 역학 농장 324곳 가운데 142곳을 정밀검사해 89곳에서 음성 결과를 얻었다. 연천 역학 농장 220곳 가운데 135곳에서 시료를 채취해 83곳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
또 파주·연천에 있는 농장 619곳을 대상으로 전화 예찰을 펼쳐 특이사항이 없다는 응답을 얻었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