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출자제한 철폐 등 규제완화 내세워 외자유치 추진
미 금융계 사업 기회 상실 우려, 트럼프 정부 나설지 미지수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무역에서 시작된 미중마찰이 주식투자와 신규상장 등 자본시장으로 확산하고 있다. 대중 강경파 미국 의원들은 공적연금의 중국 주식투자 보류를 요구하고 있다. 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에 대한 감독도 강화되는 흐름이다.
반면 중국은 규제 완화를 내세우며 외자 유치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무역과 첨단기술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찰이 금융분야로 확산, 미중간 자금왕래가 막히면 경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25일 보도했다.
대중 강경파의 대표격인 마코 루비오(공화) 상원의원 등은 최근 연방공무원의 연금운용을 관리하는 연방퇴직저축투자위원회(FRTIB)에 중국 주식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라고 요청했다. 내년으로 예정된 주가지수 연동 운용에 중국 인민해방군 거래처가 포함돼 있는 점을 문제삼았다. 이들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등 정부 핵심 간부들에게도 투자중단을 요청하는 서한의 사본을 보냈다.
연금 운용기관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주정부의 연금운용 담당자는 "의원이 설명을 요구할 것에 대비, 내부적으로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중국을 투자대상에서 제외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 기회를 놓칠 거라는 우려 때문이다.
미국 증시에 상장한 중국기업에도 역풍이 불고 있다. 의회 초당파그룹은 지난 6월 미 증시상장 중국기업에 대한 감독 강화를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중국기업의 회계감사를 담당하는 감사법인 조사가 어려워 중국기업의 신뢰를 담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작년 말 투자가들에게 미 증시상장 중국기업에 대해 주의를 촉구했다.
미국 진출을 추진하는 중국기업도 감소추세다. 미국의 금융정보제공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 증시에 상장한 중국기업은 9개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4개사 줄었다.
중국에서 온라인 융자사업을 하는 서모에드 홀딩은 지난 8월에 '바람직하지 않은 시장환경'을 이유로 미국 상장계획을 철회했다.
중국기업에 대한 투자와 신규상장 규제를 주장하는 강경파들은 미중경제의 디커플링(증시가 따로 움직이는 상황)을 노리고 있다. 관세뿐만 아니라 금융분야에서도 압력을 가해 중국기업의 자금 조달을 규제하고 싶어한다. 미국 자금 유입이 제한되면 중국기업이 타격을 받을 거라는 계산에서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자본시장 분야의 대중제재에 나설지는 알 수 없다. 미국 금융기관들은 활발한 신규상장 등을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제재 강화는 미국 금융의 활력을 저해할 수도 있어 현재로서는 명확한 방향성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반면 위안화 가치하락과 자금유출 위험을 안고 있는 중국은 외자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이강(易綱) 총재는 24일 기자회견에서 "은행, 증권, 보험에 대한 외국자본 출자제한을 내년에 전면 개방할 것"이라며 규제완화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중국은 규제완화를 반기는 유력 미국 금융기관이 많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 의회의 강경한 입장과는 달리 금융개방을 중국 사업확대의 호기로 보고 있는 미 유력 금융기관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골드만삭스 현지법인은 출자비율 확대를 신청했고 JP모건 체이스 등도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뱅가드와 인베스코 등의 운용회사들도 중국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lhy501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