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비중, 5년 만에 첫 40% 아래로
연평균 소득 2억2천만원·저축 여력 6천600만원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국내에서 금융 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부자'는 지난해 말 기준 32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1만3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9일 발표한 '2019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의 부자는 전년보다 4.4% 늘어나는 데 그쳤다.
부자는 2014년엔 23만7천명, 2015년 25만4천명(전년 대비 7.0%↑), 2016년 27만1천명(6.6%↑), 2017년 31만명(14.4%↑)으로 늘어나면서 증가폭을 키우다가 지난해에는 주춤한 셈이다.
지난해 증가율이 둔화한 것은 주식가치 변동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는 2016년 말 2,026에서 2017년 말 2,467로 21.8% 급상승했고, 주식가치 상승에 따라 2017년 부자가 급증했다.
반면 2018년 말 코스피는 2,041로 전년 대비 17.3% 급락했다. 총금융자산 규모도 다소 줄었다.
작년 말 기준으로 부자들이 보유한 총 금융자산은 2천17조원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부자들의 분포를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서울(14만5천명), 경기도(7만1천명), 인천(1만명)이 전체의 69.6%를 차지했다. 그 외에는 부산(2만4천명), 대구(1만5천명), 경남(1만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 안에서는 46.6%가 서초·강남·송파구 등 '강남 3구'에 거주했다. 강북지역에 33.7%, 이들 3구를 제외한 강남 지역에 19.7%가 살았다.
부자들 총자산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이었다.
부동산자산 53.7%, 금융자산 39.9%의 비중으로 구성됐다. 나머지는 회원권, 예술품 등이었다.
부동산 자산 비중은 이전부터 꾸준히 50%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금융자산 비중은 5년 만에 처음으로 40% 아래로 떨어졌다. 작년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반면, 주가는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런데도 부자의 금융자산 비중은 국내 일반 가구(18.9%)에 비해 크다. 일반 가구는 시가 수억 원 안팎의 주택 1채와 적은 양의 금융자산을 갖고 있어 부동산 자산 비중(76.6%)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부자 가구의 연간 소득은 평균 2억2천만원으로 일반가구(5천700만원)의 3.9배 수준이었다. 이 중 노동소득 비중은 63.0%, 재산소득은 32.5%였다.
부자 가구가 주거, 교육, 여가·취미 등 순수 생활비로 쓰는 소비지출액은 월평균 1천40만원으로 집계됐다. 일반가구(254만원)의 4배 수준이다.
부자 가구의 연간 저축 여력(연 소득에서 생활비, 세금, 3대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은 평균 6천620만원으로, 월 500만원 이상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있었다.
이들에게 '한국에서 부자라면 얼마 정도의 자산을 갖고 있어야 할까'라고 물었더니 돌아온 답은 평균 67억원이었다.
답변은 50억원(22.7%), 100억원(18.3%), 30억원(17.2%) 순으로 많았다. 20억원 미만을 선택한 부자는 12.0%에 불과했다.
이들 중 '지금 나는 부자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45.8%였다.
총자산이 많을수록 스스로 부자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부자 보고서는 올해로 9번째다. 한국은행, 통계청, KB금융[105560] 고객데이터를 토대로 부자 수와 지역별 현황을 추정했고,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 보유자 400명을 상대로 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