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580만 명이 빈곤선 아래서 생활…1년 새 340만 명 빈곤층 추락
![](https://img.yonhapnews.co.kr/photo/ap/2019/10/01/PAP20191001058401848_P2.jpg)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아르헨티나의 경제 위기가 오래 이어지면서 국민 세 명 중 한 명 이상이 빈곤선 아래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일간 라나시온 등에 따르면 전날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상반기 기준 빈곤율은 35.4%였다. 도시와 농촌 거주 국민을 모두 합쳐 1천580만 명이 빈곤층인 셈이다.
1년 전 수치에 비하면 8%포인트 이상 늘어난 것으로, 1년 사이에 340만 명이 빈곤층으로 전락했다.
이 같은 빈곤율은 2007∼2008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라나시온은 설명했다.
극빈층 비율도 7.7%로 전년도보다 2.8%포인트 늘었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14세 이하 아동 중 절반 이상(52.6%)이 빈곤층이라는 점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날 발표된 수치는 지난 8월 아르헨티나 예비선거 이후 더욱 악화한 경제상황은 반영되지 않은 것이라 내년 3월 발표될 하반기 빈곤율은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당시 예비선거에서 좌파 후보가 예상 밖 큰 승리를 거두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져 페소화 가치와 주가가 급락했다.
물가 상승도 이어져 서민들의 끼니 해결조차 어려워지자 아르헨티나 정부는 식량 비상사태로 보고 저소득층 식량 보조를 확대하기도 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ap/2019/10/01/PAP20191001082001848_P2.jpg)
아르헨티나는 팜파스 농업의 성장 속에 1895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았고,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세계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부국이었다.
그러나 여러 대내외적 이유로 20세기 중후반부터 경제가 내리막길을 걸었고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과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여러 차례 반복하며 경제 위기가 오래 이어졌다.
아르헨티나 매체인 암비토는 1974년 아르헨티나의 빈곤율이 4%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45년 만에 빈곤층 비율이 8배 이상 늘었다고 설명했다.
친(親)시장주의자인 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4년 전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업고 당선된 이후에도 살인적인 인플레이션과 통화가치 하락은 이어졌다.
빈곤율이 발표된 후 마크리 대통령은 "불행히도 이것이 우리가 처한 상황을 반영해주는 것"이라고 시인하며 "고통스럽긴 하지만 더 앞을 내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오는 27일 치러질 대선에서 1위가 유력한 좌파 후보 알베르토 페르난데스는 "마크리 대통령이 만들어낸 것은 빈곤뿐"이라고 꼬집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9/10/01/PEP20191001039601848_P2.jpg)
mihy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