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3년간 재정을 긴축으로 운영 안했다"
(세종=연합뉴스) 정책팀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내년에 30여년을 내다보는 장기재정전망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나름대로 재정준칙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10/02/PYH2019100209070001300_P2.jpg)
그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재정 건전성 유지를 위해 어떤 기준을 갖고 있느냐는 자유한국당 윤영석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홍 부총리는 2019∼2023년 중기재정운용계획에서는 국가채무비율을 2023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46% 내에서 관리하는 게 목표라고 덧붙였다. 기재부는 지난달 2065년까지의 장기재정전망 작성을 위한 실무작업에 착수했다.
그는 국가채무비율을 GDP 대비 40% 내에서 지키는 게 정부의 목표가 아니냐는 윤 의원의 질의에는 "국가채무비율 GDP 대비 40%는 절대 불변의 기준이 아니다"라면서 "작년에 국회에 2022년까지 중기재정운용계획을 제출했을 때 이미 40%를 넘긴다고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6년 국무회의에서 재정의 지속가능성 및 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나랏빚인 국가채무는 GDP 대비 45% 이내에서, 실질적인 나라 살림을 뜻하는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GDP의 3% 이내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재정건전화법 제정안을 의결한 바 있다. 이 법안은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기획재정위원회에서 계류 중이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을 3.0% 내에서 관리하라는 것은 유럽연합(EU)의 재정준칙이기도 하다.
홍 부총리는 소득주도성장의 치명적 약점이 3년간의 긴축재정 때문이라는 정의당 심상정 의원의 지적에는 "긴축재정을 했다는 데에는 동의하기 어렵다"면서 "2∼3년간 재정을 긴축으로 운영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는 재정건전성과 관련해 자산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 심 의원의 지적에는 "국가채무는 대응자산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순수한 적자성 채무인지 금융성 채무인지 구분해서 관리하고 있다"면서 "금융성 채무는 상응자산이 있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이를 감안한 지표를 만들자는 것은 검토해볼만 하다"고 말했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