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족돕기·전미북한위원회·경기도 주최…"인도적 지원도 대화의 모델"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02/AKR20191102024800072_01_i.jpg)
(뉴욕=연합뉴스) 이준서 특파원 = 대북(對北) 인도적 협력사업의 중요성을 논의하는 국제토론회가 미국 뉴욕에서 열렸다.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과 무관한 인도적 분야의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민간 차원의 대화 물꼬를 마련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의 적극적인 '제재 면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미국 현지에 전달하겠다는 취지다.
국내 대표적인 대북 인도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1일(현지시간) 오후 뉴욕 맨해튼 뉴욕대학교(NYU)에서 '2019 대북협력 국제회의'를 개최했다.
남북 공동방역 논의에 적극적인 경기도, 미국 내 북한 관련 비정부기구(NGO)인 전미북한위원회(NCNK)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번 회의는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이 경기도와 함께 2009년부터 진행하는 행사로, 미국 현지에서 열기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까지는 '지원'에 초점을 맞췄지만, 앞으론 협력사업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협력'을 전면에 내세웠다.
최완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상임공동대표는 "북한을 사업 파트너가 아닌 수혜자로서만 여기게 되면 그 사업은 실패하기 마련"이라며 "대북 지원사업에서 협력사업으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북제재가 대북협력 민간단체들의 활동에 상당한 어려움을 주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핵 개발을 억제한다는 원래 목적보다는 북한 주민의 생활고를 가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미북한위원회 케이스 루스 사무총장도 "지금의 대북제재는 예상하지 않았던 인도적 피해들을 발생시키고 있다"면서 "어떤 도전이 있더라도 인도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명섭 경기도 평화협력국장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는 비무장지대(DMZ) 공동방역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대북제재의 좋은 목적이 있겠지만 의도하지 않은 피해도 생기고 있는 것"이라며 인도적 사업에 대한 조속한 제재 면제를 촉구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02/AKR20191102024800072_02_i.jpg)
미국 내 북한문제 전문가들도 인도적 지원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했다.
평양 주재 유엔 상주조정관을 지낸 제롬 소바지는 "인도적 지원은 대북 대화의 한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소바지는 "우리는 북한의 개방을 도와줬지만 이에 대한 저항은 늘 강했다"면서 "새로운 대북 지원의 문턱에 있고, 여러 도전 과제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문턱을 넘으려는 노력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EF) 식량원조연락소(FALU) 대표로 평양에 파견됐던 에릭 와인가트너는 "인도적 대북지원은 필수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시급하게 활성화돼야 하는 사업으로는 '남북 인도적 교류'가 꼽혔다.
박창일 '평화 3000' 운영위원장은 "현재 우리나라 정부가 북한에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이 너무 없다"면서 "만약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이 허용된다면, 대한민국 정부가 북한 비핵화에 관여할 기회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측은 이번 뉴욕 방문 기간, 대북제재 면제 여부를 판단하는 유엔 대북제재위와 다각도 접촉을 통해 남북 인도적 교류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설명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국제회의는 오는 2일까지 이어진다. 2일에는 '국내외 대북협력 현황과 협력방안' 등을 주제로 비공개 토론이 진행된다.
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