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잦아들어도 여전히 위험…캘리포니아 남부에 '레드 플래그'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옥철 특파원 =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남가주)에 전력을 공급하는 서던캘리포니아에디슨(SCE)은 지난달 31일(이하 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LA) 북서쪽 벤추라 카운티에서 발화한 '마리아 파이어'가 전력 공급을 재개한 지 불과 13분 만에 일어났다고 2일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03/AKR20191103000900075_01_i.jpg)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SCE는 성명에서 "1만6천 볼트 전압의 파워라인(송전선)을 재활성화하자마자 몇 분 만에 불이 났고 삽시간에 14제곱마일 면적으로 번져나갔다"라고 말했다.
마리아 파이어는 현재 진화율 0%로 벤추라 카운티 소도시 샌타폴라와 카말리요, 소미스 등 일대 주민 1만1천여 명이 불길을 피해 대피했다. 화염은 1천800여 채의 가옥과 건물을 위협하고 있다.
SCE는 산불의 실제 발화 원인에 대해 조사가 더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상 당국은 극도로 건조한 습도와 강한 돌풍 가능성 때문에 이날 저녁까지 산불 발화 경보인 '레드 플래그'를 남가주 지역에 발령한 상태다.
미 국립기상청(NWS)은 "최근 산불의 발화 기세로 볼 때 바람이 다소 잦아들기는 했어도 여전히 위험한 환경이 조성돼 있다"라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03/AKR20191103000900075_02_i.jpg)
마크 로렌초 벤추라 카운티 소방국장은 "이번 불은 힘겨운 전투"라면서 "바람의 방향이 수시로 변하고 있어 종잡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앞서 캘리포니아주 최대 전력회사 퍼시픽가스앤드일렉트릭(PG&E)은 북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모두 4차례 광범위한 강제단전을 했고,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주민 수가 200만 명이 넘는다.
캘리포니아 북부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태운 '킨케이드 파이어'는 이날 오전 현재 진화율이 70%를 보이면서 진정 국면에 들어갔다.
oakchu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