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포르투갈 인구보다 많아…불평등 심화로 사회적 갈등 확산 우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브라질 경제가 사상 최악의 침체 국면에 빠지기 시작한 지난 2015년 이후 극빈층이 늘어나면서 불평등이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질 국립통계원(IBGE)은 6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극빈층이 2015년부터 한 해 평균 100만 명씩 증가했다고 밝혔다.
극빈층은 2015년 900만 명에서 지난해엔 1천350만 명으로 450만 명 늘었다. 지난해 극빈층은 벨기에나 포르투갈, 그리스의 전체 인구를 넘어서는 규모다.
IBGE는 세계은행(WB)이 설정한 기준에 따라 하루평균 소득이 1.9달러 미만을 극빈층으로 분류했다.
지난해 전체 인구에서 극빈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6.5%에 달해 2012년(5.8%) 이래 가장 높았다. 극빈층 비율은 2014년에 4.5%까지 낮아졌다가 이후엔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IBGE는 지난해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 계수'나 소득분배지표인 '팔마 비율'이 역대 최악으로 나타났다면서 심각한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할 가능성에 우려를 표시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07/AKR20191107002300094_01_i.jpg)
앞서 IBGE는 지난달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부유층과 빈곤층의 소득 격차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조사에서 상위 1%의 월평균 소득은 하위 50%의 33.8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의 월평균 소득은 2만7천744헤알(약 805만 원), 하위 50%는 820헤알(약 24만 원)이었다.
지난해 부유층과 빈곤층의 소득 격차는 IBGE의 공식적인 조사가 시작된 지난 2012년 이래 가장 큰 폭이다.
2017년과 2018년을 비교하면 부유층의 소득은 8.4% 늘어난 반면 빈곤층의 소득은 3.2% 감소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07/AKR20191107002300094_02_i.jpg)
전문가들은 재정위기에 따른 사회구호 프로그램 축소가 빈부격차의 주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빈곤층·극빈층에 생계비와 교육비를 지급하는 복지 프로그램인 '보우사 파밀리아'(Bolsa Familia)의 혜택을 받는 주민은 2012년 15.9%에서 2018년에는 13.7%로 줄었다.
브라질 정부는 내년 '보우사 파밀리아' 예산을 올해와 비슷하게 300억 헤알(약 8조7천억 원)로 책정했으나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아 실질적으로는 규모가 줄었다.
이 프로그램에 따라 빈곤·극빈층에 지급되는 생계비는 1가구당 평균 188.63헤알(약 5만4천700원)이다.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는 빈곤·극빈층 가구는 올해 1천380만 가구에서 내년에는 1천320만 가구로 줄어든다.
fidelis21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