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증여 평균 8억3천128만원…부동산 중과 등 영향 추정
1인 평균 증여 신고재산 1억8천900만원, 상속 재산은 24억2천만원
(세종=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해 주택을 포함한 건물 증여와 부부 사이 증여가 이례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계속 오르는 데다 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으로 향후 공시가격 인상과 보유세 등 세금 중과(重課)가 예상되면서, 절세 차원에서 일찌감치 부동산 증여를 선택한 사례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 세금 납부를 위해 신고된 상속·증여 재산은 1인당 평균 24억2천만원, 1억9천만원 수준이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10/AKR20191110045200002_02_i.jpg)
11일 국세통계에 따르면 2018년 증여세 신고 대상 재산과 신고 인원은 각 27조4천114억원, 14만5천139명으로 1년새 17%, 13%씩 늘었다.
1인당 평균 증여 신고액이 1억8천900만원 수준으로, 2017년(1억8천173만원)보다 4% 늘었다.
토지가 신고 건수(5만5천건)와 금액(8조5천억원)에서 모두 최대 증여 자산이었지만,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은 주택을 포함한 건물 증여였다. 건수(4만1천681건)와 증여 신고액(8조3천339억원) 증가율이 각 28%, 42%에 이르렀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10/AKR20191110045200002_03_i.jpg)
증여·수증인(증여를 받는 사람)의 관계를 보면, 부부 간 증여가 가장 큰 폭으로 불었다. 건수(3천164건)와 신고액(2조6천301억원)이 2017년보다 45%, 42% 급증했다.
부부 사이 증여된 자산의 평균 신고액은 8억3천128만원이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1/10/AKR20191110045200002_01_i.jpg)
상속세의 경우 지난해 총 신고재산은 2017년(16조5천329억원)보다 24% 많은 20조4천604억원, 신고인원은 21% 늘어난 8천449명으로 집계됐다.
피상속인(사망자) 1인당 평균 상속 재산(24억2천164만원)도 전년(23억7천200만원)보다 2% 증가했다.
상속 자산을 종류별로 보면, 건수로는 금융자산(7천26건)이 가장 많고 이어 건물(6천762건), 토지(5천649건) 순이었다.
하지만 신고액 기준으로는 토지가 5조7천억원으로 1위였고, 전년 대비 상속 신고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자산은 유가증권(60%·2조8천681억→4조5천827억원)이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9/11/11/GYH2019111100030004400_P2.jpg)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