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기술원·서울대 반도체연구소 등 6곳은 '국가연구시설' 선정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재료연구소의 타이타늄 연구실, 금속분말 연구실과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소재 전극 연구실 등 12곳이 '국가연구실'로 지정돼 소재·부품·장비 연구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종합기술원,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등 6곳은 '국가연구시설'로 선정돼, 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기능을 하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재료연구소에서 '국가연구인프라(3N) 지정식'을 열어 이런 1차 지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 8월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의 후속 조처다. 혁신대책에는 일본의 수출 규제 같은 상황에서 관련 연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표 연구실과 연구시설을 국가연구실과 연구시설로 지정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인프라를 총 3차례에 걸쳐 지정할 계획이다.
이번 1차 지정은 즉시 운영할 수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소속 연구실과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긴급 공정 지원이 가능한 나노팹시설이 대상이다.
2차 지정부터는 대학과 전문연구소 등으로 지정 대상 범위를 넓히고 국가연구협의체(N-TEAM)도 지정한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최기영 장관은 지정식에서 "국가연구실과 국가연구시설이 핵심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지원에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해 달라"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12/11/AKR20191211057200017_01_i.jpg)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