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전문가 설문 "높은 연봉 지급 어려워 인력유출 많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국내에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인공지능(AI) 전문 인력이 양적·질적으로 부족해 규제 완화와 AI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국내 산업계, 학계, 연구원 등에서 AI 관련 연구를 하는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진행한 전화·이메일 설문 결과를 근거로 이같이 주장했다.
설문 결과 AI 산업을 선도하는 미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중·일 3국의 AI 인재 경쟁력 수준은 각각 5.2(한국), 6.0(일본), 8.1(중국)로 평가됐다.
한경연은 한국의 AI 인재 경쟁력이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중국과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며 전문가의 말을 빌려 '국내에도 관련 인력이 배출되지만, 미국, 유럽, 중국행을 택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AI 인력이 수요보다 얼마나 부족한지를 묻자 가장 많은 20.7%가 '50∼59%'라고 답했고, '70∼79%'·'30·39%'라는 답이 각각 17.3%로 나타났다. AI 인력 부족률은 평균 60.6%로 필요인력 10명중 4명 밖에 충당되지 않는 셈이었다.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는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이라는 답이 뒤를 이었다.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 설립·인수라는 답도 각각 17.9% 나왔다.
한경연은 자체 조사 결과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기업과 삼성전자[005930], 네이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 모두 즉시 협업 가능한 연구진을 보유한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 설립 등을 통해 AI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의 우수한 AI 인재를 확보하고 사내 재교육을 통해 인재를 발굴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I 인력을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는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2순위까지 복수응답)하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렵다'(25.5%)는 이유가 꼽혔다.
'대학원 등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6.7%), '예산지원, 규제 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6.7%) 등도 애로 요인으로 꼽혔다.
국내 AI 인재 육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교육 인프라 확대'(37.8%·2위까지 복수응답), '기술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21.1%), 'AI 관련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의 AI 인재 육성 제도적 지원'(13.3%), 'AI 인재 유치를 위한 근로환경 및 기업문화 조성'(12.2%) 등 순이었다.
한경연은 "세계적으로 AI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려운 점도 인력 확보를 어렵게 한다"며 " AI 인재 육성은 시간과 예산이 필요한 만큼 초·중·고교와 대학에서부터 기초교육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