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양책, 국내 수요 진작" 해석도…인프라투자는 지속 부진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11월 중국의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지표가 다소 호전됐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산업생산은 작년 같은 달보다 6.2% 증가했다.
11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문가 예상 평균치인 5.0%는 물론 지난달 증가율 4.7%를 크게 웃돌았다.
중국의 월간 산업생산 증가율은 지난 3월 8.5%로 정점을 찍고 나서 지난 8월 17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4.4%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다소 회복되는 조짐을 보인다.
올해 1∼11월 누적 산업생산 증가율은 5.6%로 집계됐다. 중국 정부의 올해 연간 산업생산 증가율 관리 목표는 5.5∼6.0%다.
11월 증가율을 제품별로 보면, 자동차 업계의 불황이 2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승용차 생산량이 작년 동월보다 3.4% 감소했다.
특히 정부 보조금 축소의 여파로 순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신에너지 차량의 생산량은 41%나 급감했다.
11월 스마트폰 제조량도 작년 같은 달보다 1.3% 줄었다.
아울러 최근 들어 중국에서 경제 성장 기여도가 가장 높은 소비 활력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1월 11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걸친 전국적 할인 이벤트인 11·11 쇼핑 축제가 대대적으로 진행된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11월 소매판매액은 3조8천94억 위안으로 작년 동월보다 8.0% 증가했다.
11월 증가율은 시장 예상치(7.6%)와 전월 증가율(7.2%)을 모두 상회했다.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성 속에서 중국인들이 불필요한 소비를 자제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올해 4월과 10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16년 만에 최저치인 7.2%를 각각 기록한 바 있다.
로이터 통신은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증가율 개선과 관련해 수출 감소세에도 중국 정부의 부양 정책이 국내 수요 진작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경기 둔화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한 경기 안정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관련 지표는 크게 반등하지 않는 모습이다.
1∼11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5.2%로 199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저 수준인 1∼10월 증가율과 같았다.
이 중 1∼11월 인프라시설 투자 증가율은 4.0%로 1∼10월보다 오히려 0.2%포인트 둔화했다.
무역전쟁 속에서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지자 중국은 올해 연초 2조1천500억 위안 규모의 인프라 투자용 특수목적 채권 발행 한도를 각 지방정부에 하달하고 투자를 독려했다.
하지만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이후 중국이 강력한 부채 감축 정책을 추진해온 가운데 지방 정부 관리들은 자신의 재직 기간 늘린 빚이 나중에 문제가 될까 봐 중앙의 독려에도 인프라 투자에 몸을 사리고 있다.
중국은 금융 리스크 예방을 위해 이른바 '평생 문책제'를 도입했다. 부채 문제로 특정 지방에서 금융 위험이 발생할 경우 해당 시기 책임자가 다른 곳으로 떠났더라도 끝까지 책임을 묻는 문책 제도다.
한편, 산업생산 등 주요 지표가 바닥을 찍고 회복되는 듯한 조짐도 보이지만 크게는 중국의 경기 둔화 추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와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각각 6.1%와 5.8%로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연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중국이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올해의 '6.0∼6.5%'보다 낮은 '6.0%가량'으로 제시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