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못 믿겠다" 사우디, 이란·카타르와 긴장완화 타진

입력 2019-12-27 10:18  

락토핏 당케어 광고 이미지
난각막NEM 광고 이미지
"미국 못 믿겠다" 사우디, 이란·카타르와 긴장완화 타진
NYT "아람코 원유시설 피격 후 외교정책 급변침" 관측
배경엔 미국 외교정책 불신·사우디 둘러싼 광범위한 반감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사우디아라비아가 지난 9월 14일 이란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드론 공격으로 자국의 최대 석유 시설 2곳이 타격을 입은 이후 적성국에 대한 지금까지의 강경 입장에서 벗어나 역내 긴장 완화를 위해 나섰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26일 보도했다.



사우디의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5년 가까이 끌어온 예멘 내전을 끝내기 위해 후티 반군들과 직접 대화를 강화하고, 이웃 카타르에 대한 외교·교역 봉쇄를 완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는가 하면, 중동의 패권을 놓고 다투는 주적 이란과의 간접 대화에 착수하는 등 외교적인 급변침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사우디가 이처럼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는 대결에서 긴장 완화를 위한 협상으로 노선을 변경한 것은 미국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됐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미국은 지난 9월 사우디 최대석유 회사 아람코의 원유시설 2곳을 공격한 배후가 이란이라는 데에는 동의했으나, 사우디의 기대와는 달리 이란을 응징하기 위한 적극적인 개입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이를 계기로 '외세의 공격으로부터 사우디의 석유산업 보호'라는 수십년 동안 흔들림 없이 이어져 온 미국의 대(對)중동 외교정책을 더 이상 당연시 할 수 없게 됐다는 냉정한 깨달음을 얻었다고 NYT는 지적했다.
미국은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집권 시절인 1980년 전후로 이란의 이슬람 혁명과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중동 정세가 불안해지자, 페르시아만에서의 원활한 원유 수송을 보장하기 위해서라면 군사력을 사용하겠다는 일명 '카터 독트린'을 중동정책의 기본 축으로 유지해 왔다.
1973년 이래 미국산 무기 구입에 무려 1천700억 달러(약 200조원)의 막대한 돈을 지출한 사우디는 그러나 이번 일로 결정적인 순간 자국 경제의 주춧돌인 원유산업을 지키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더 이상 필요한 군사 지원을 얻을 수 없다는 사실에 직면했다.
거칠고 예측불가능한 이웃들로부터 자국을 지키려면 역내 긴장 완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한 사우디는 적들을 향한 접촉을 조용히 시작했다.
영국 런던 킹스칼리지의 데이비드 B. 로버츠 지역학 연구원은 "(아람코 원유시설에 대한 공격이 자행된) 9월 14일은 걸프 해협의 역사에서 중대한 순간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미국이 사우디를 보호해줄 것이라는 가정이 산산이 조각나면서, 사우디는 주변국들에 좀 더 포용적일 필요가 있음을 깨달았다"고 분석했다.
사우디가 역내 긴장 완화를 위해 외교를 중시하는 정책으로 돌아선 것은 미국의 입장에서는 '어색한 역설'이라고 NYT는 지적했다.
미국 정부와 의회는 그동안 금세기 최악의 인도적 위기로 불리는 예멘 내전을 종식할 것과 카타르와 화해하라고 사우디를 지속적으로 압박해 왔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런 까닭에 이란의 소행으로 여겨지는 사우디 원유 시설 공격이 미국의 압박에도 꿈쩍하지 않던 사우디의 태도를 변화시킨 것은 역설적인 상황이 아닐 수 없다고 NYT는 설명했다.
게다가 미국 의회와 미국 행정부 일각에 예멘 내전과 사우디의 카타르 봉쇄, 사우디에 비판적이었던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 등으로 사우디 정권에 대한 광범위한 적대감이 퍼져 있는 것도 사우디 입장에서는 더 이상 미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갖게 한 요소로 작용했다.


비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산 무기의 주요 고객인 사우디 왕조를 중요한 동맹으로 계속 감싸고 있지만, 내년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사우디를 마냥 옹호하는 것은 재선 가도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
영국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중동 전문가 에밀리 호카옘은 "트럼프에게도 재선을 위선 유세 기간 내내 사우디 편을 들기란 어려운 일"이라며 "사우디는 이런 시기에 '톤 다운'이라는 영리한 전략을 취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2015년 3월 발발해 5년째로 접어든 예멘 내전은 예멘 정부를 지원하는 사우디가 주축이 된 아랍동맹군, 시아파 후티 반군을 지원하는 이란 사이의 대리전 양상을 띠면서 사실상 국제 전쟁으로 비화했고, 내전으로 예멘 국민 1만명 이상이 지금까지 목숨을 잃었다.
사우디는 또한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이집트 등 아랍 주류권을 규합, 2017년 6월 테러리즘 지원과 이란과 우호 관계 등을 구실로 카타르와 단교하고 인적·물적 교류를 중단했다.
지난해 10월 2일 터키 이스탄불 주재 사우디 총영사관에 개인 용무로 들렀다가 사우디 정부 소속 요원들에게 잔인하게 살해된 카슈끄지 사건의 경우, 빈 살만 왕세자가 배후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ykhyun1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