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갑 한양사이버대 교수 분석…외식시장 연평균 9.1% 성장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외식시장의 체감경기가 얼어붙었다는 이야기가 끊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연평균 9%씩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https://img.yna.co.kr/etc/graphic/YH/2020/01/20/GYH2020012000030004400_P2.jpg)
체감과 실제 경기와의 간극은 업종 간 양극화가 주요 원인으로, 침체된 타 업종과 달리 커피·음료 업종은 '나홀로' 20%가 넘는 성장세를 보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01/17/AKR20200117067900030_01_i.jpg)
20일 김영갑 한양사이버대학교 호텔외식경영학과 교수가 컨설팅업체 나이스지니데이터의 빅데이터 상권 분석 시스템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외식시장 규모는 180조원을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외식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9.1%에 달했다.
김 교수는 "많은 외식업자들이 경기가 나쁘다고 하소연하지만 실제 외식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며 "양극화와 업종 간 성장률 차이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업종별 연평균 성장률을 보면 커피·음료 업종이 21.8%로 가장 높았고, 이어 분식(15.2%)과 중식(14.3%), 제과·제빵·떡·케이크(11.7%) 등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유흥주점은 -1.3%로 주요 업종 중 유일하게 역성장했고, 뷔페(0.5%), 양식(3.8%) 등도 성장세가 저조했다.
전체 외식업체 수는 2016년 약 60만4천개에서 지난해 약 66만3천개로 연평균 3.2% 증가했다.
업체 수에서도 커피·음료가 19%의 증가율로 2위 제과·제빵·떡·케이크(8.7%) 업종과 큰 차이로 1위를 차지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01/17/AKR20200117067900030_02_i.jpg)
사업 아이템별로는 만화카페와 고등어 전문점, 토스트 전문점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점포당 월평균 매출액 성장률 조사 결과 만화카페는 31.7%, 고등어 전문점은 29.3%, 토스트 전문점은 27.9%로 집계됐다.
외식업체 주요 고객은 20대와 50~60대 위주로 재편되는 추세다.
외식 소비자 성별·연령별 증감률에서는 10대와 30~40대가 감소한 반면 50~60대 이상과 20대 남성이 증가했다.
이는 패스트푸드류를 중심으로 20대 고객이 늘고, 한식류가 유행하면서 50~60대 고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김 교수는 풀이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01/17/AKR20200117067900030_03_i.jpg)
김 교수는 "상가 공실이 늘고 폐업이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창업자 수가 더 크게 증가하면서 올해 외식업체 수도 증가할 것"이라며 "상위 20% 업종과 점포는 성장하고 하위 20%는 하락 추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등 양극화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매출 증가보다 비용 증가가 더 큰 상황에서 외식업체의 이익이 꾸준히 줄고 있다"며 "외식사업자들로선 비용을 고객과 직원을 만족시키면서 목표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 재무관리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