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국제통상무역연구원 보고서 "설비·인력 함께 쓰는 제조공유 한국에 적합"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중국의 공유경제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통상무역연구원은 2일 내놓은 '중국 공유경제 시장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8년 중국의 공유경제 시장 규모는 2조9천420억위안(약 496조원)으로 전년 대비 41.6% 증가했다고 밝혔다.
공유경제 참여자는 전년보다 8.5% 증가한 7억6천만명, 플랫폼 종사자는 7.6% 늘어난 598만명으로 집계됐다.
중국의 유니콘(시가총액 1조원 이상의 비상장 기업) 기업 중 공유경제 관련 기업의 비중이 40%가 넘는 등 공유경제의 성공사례도 느는 추세다.
부문별로 보면 생활서비스 시장 규모가 1조5천894억위안(약 298조원)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생산력, 교통, 지식·기술, 오피스 공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곳은 생산력(제조 공유) 부문으로 시장규모가 전년 대비 97.5% 확대됐다.
중국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공유경제를 제도화하고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2016년 13차 5개년 계획에서 공유경제가 주요 육성산업으로 언급된 이후 여러 차례에 걸친 정책발표를 통해 세부 산업별 관리·감독 체계를 수립했다.
각 지방정부도 공유경제 추진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발표하고 시행 중이다.
보고서는 "중국은 유휴자원과 노동력 활용, 서비스 공급과 부가가치 제고, 사회문제 해결 등의 장점을 지닌 공유경제를 혁신 성장의 한 축으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정부도 관련 규범과 제도를 확립해 자금, 인재양성 등 정책 지원까지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 내 공유경제 시장이 커지면서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일부 분야에서는 업체 난립과 관리 문제가 발생했다.
일례로 공유경제 확산 초기 공유 자전거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면서 관련 업체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도산하면서 고장 난 자전거가 아무 곳에나 방치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공유경제 육성 정책에 따라 각종 규범과 제도를 확립하고 있으며 이런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공유경제 시장은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잠재성장률이 떨어지는 한국도 신산업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공유경제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설비·인력·시스템 등을 공유하는 제조 분야 공유경제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돕고 경쟁력도 높일 수 있어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에 적합하다"면서 "정부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기업은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해외로 진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