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화재 원인 단정 어려워…신뢰 회복 위해 노력"
![](https://img.yna.co.kr/photo/yna/YH/2020/02/06/PYH2020020620810001300_P2.jpg)
(세종=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조사단의 김재철 공동 조사단장(숭실대 전기공학부 교수)은 6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열린 추가 화재 사고 조사 결과 브리핑에서 "배터리를 제조할 때 일부 조금씩 문제가 있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것만으로 불이 나지는 않지만 여기에 과충전, 과방전 등 운영상의 문제가 합쳐지면서 화재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화재 원인을 단정하기 어렵다면서도 "ESS에 대한 국민과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다음은 김 조사단장, 문동민 산업부 자원산업정책관, 임영호 삼성SDI[006400] 부사장, 신영준 LG화학[051910] ESS전지 사업부장과의 일문일답.
-- 화재 원인을 '배터리 이상'으로 추정했는데 배터리 자체에 결함이 있다는 것과 다른 뜻인가.
▲ (김재철) ESS 설비는 불이 나서 다 타버렸기 때문에 화학적 분석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현재는 불이 나지 않았지만 사고 사업장과 유사한 인근 사업장의 배터리를 수거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해보니 그런 배터리를 계속 쓰면 불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추정이라고 밝힌 거다. '이상'이라는 말은 배터리를 일부 제조할 때에 확률상으로 조금씩 문제가 있었던 것과 과충전, 과방전, 저전압 등 운영상의 문제 합해져 앞으로 계속 쓰면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뜻에서 사용했다.
-- 1차 조사와 결과가 확연히 다른데 그 이유는.
▲ (김재철) 1차 조사는 설비가 전부 다 타고 기록도 없어서 설치 환경, 외부적 환경 이런 것으로 조사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도 배터리 운용 기록이 없었으면 그렇게 갈 뻔했는데 1차 조사 발표 후 배터리 운용 기록을 남기게 블랙박스를 설치하도록 해서 이번에는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2차 조사에서도 1차에서의 지적 사항과 이행조치를 조사했고 이번에 불이 난 배터리는 이를 다 수행한 배터리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02/06/AKR20200206157600003_02_i.jpg)
-- 배터리 충전율을 제한하면 그만큼 손해가 나는데 이는 누가 보상하나.
▲ (임영호) 충전율 조정은 조사단과 산자부가 결정한 사항을 우리가 협력해서 따라가는 것을 검토하는 것이다. (충전율을 낮추면) 전체적으로 경쟁력과 효율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는 건 사실이나 추후 안전사항(을 준수하면서) 수준을 찾아가며 메워나갈 계획이다.
-- 배터리업체 제외한 설비업체도 조사했나.
▲ (김재철) 배터리 제조업체뿐 아니라 전력변환장치(PCS), 설계·조달·시공(EPC) 업체를 모두 만났고 배터리업체와는 의견을 조정하는 기간도 가졌다. 가능성 있는 업체는 다 만나봤다.
-- 조사단에 국회 보좌관 3명이 포함됐는데 이들의 역할은.
▲ (김재철) 객관성을 보장하고 국민 입장에서 조사하기 위해서 참여했다. 엔지니어의 오류, 조사기관의 오류, 업체의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 국민을 대변하는 기관에서 온 것이다.
-- 업계에서는 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조목조목 반박했는데.
▲ (임영호) 조사단에서 제시한 내용(발화지점)이 배터리에서 발견된 건 맞다. 우리는 그 내용이 발화로 연관되는 내용은 아니라고 소명한 것이다. 배터리가 공장에서 만들어져 밖으로 나가 라이프사이클(상품의 수명)을 거치는 동안 나타날 수 있는 내용이다. 화재 원인을 이거라고 딱 찍을 수는 없다. 해외와 국내의 사용 시간, 운영 환경 등이 확연히 다르다. 더 들여다볼 부분이 있겠지만 해외와 같은 케이스가 만들어지면 안전하게 운용될 것이라고 보고 그 부분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신영준) 화재 원인이 뭐라고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중국 난징(南京)산 배터리를 전량회수 조치하기로 결정했다.
-- 조사단과 배터리 제조사의 말이 다른데 논란이 있지 않겠나.
▲ (김재철) 조사단의 조사는 책임 문제를 가리기보다는 재발을 방지하는 게 주목적이다. 화재 사업장의 배터리는 다 타서 이걸 분석하면 누가 해도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다. 다만 대체 왜 불이 났을까를 보면 배터리가 자기 몸이 아프다는 시그널을 운영기록 등을 통해 보냈다. 이런 배터리를 오래 두면, 어떤 범위까지 가면 불이 나지 않겠느냐고 생각한 것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02/06/AKR20200206157600003_01_i.jpg)
-- 조사단은 강원 평창의 경우 배터리 보호 기능이 작동을 안 했다고 했고, 삼성SDI는 보호 기능이 작동했는데도 작동을 했는데도 조사단이 이를 누락했다고 했다. 뭐가 맞나.
▲ (김재철) 우리는 근거 기록을 가지고 했다. 보호 계정기록이 미스오퍼레이션(오작동)한 것 같다. 삼성SDI는 동작했다고 하니 차후에 동작 여부를 검토해보면 될 듯하다. 다만 그것 때문에만 불이 난 건 아니고 이런 게 누적돼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추정한다.
-- 삼성SDI는 조사 결과에 대한 반박 자료를 내놓고 입장문에서는 존중한다고 했다. 그 이유는.
▲ (임영호) 입장문은 ESS 생태계를 살리고 안전한 운영을 하기 위해서 어떤 자세로 어떻게 협력할지를 말한 거다. 화재 원인과 관련해선 지난해 10월 이후부터 조사단이 제시하는 내용을 꾸준히 실험하면서 열화와 안전성은 (연관이 없다는 걸) 초지일관 설명했다.
-- 설비업체와의 책임 소재 다툼이 있을 수 있는데.
▲ 책임은 딱 잘라 못 나눈다. 다만 배상이나 화재로 고통받는 중소업체를 위해 선제로 배터리를 넣고 이런 조치를 통해서 최대한 피해를 줄이도록 노력하고 있다. 충전율을 줄이면 경쟁력이 없고 효율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는데 안전성이 담보되고 어느 정도 수준에서 운영이 되면서 화재 원인이 밝혀지면 점진적으로 올릴 수 있다고 본다.
-- 한국의 ESS 설비에서만 불이 나는 이유는.
▲ (김재철) 우리처럼 100% 충전하고 방전하는 시스템이 개별적으로는 맞지만 시스템 전체로는 안 맞는다. 해외에서도 100% 충·방전을 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ESS처럼) 비싼 설비를 열악한 환경에 설치해 운영하는 것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 5건의 화재에서는 운영사의 책임이 없다고 보는지.
▲ (김재철) 4건은 공통이행조치를 다 수행했고 평창만 공동이행조치 도중에 불이 났다. 운영사는 어느 정도 목표를 (수행)했다고 본다. 이번 5건에 한해서 봤을 때는 운영사에서 그렇게 큰 미스오퍼레이션은 없었다.
-- 배터리 이상을 개선할 대책은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 (문동민) 배터리에 관한 내용은 지난해 하반기에 한국산업표준(KS) 인증 기준이나 국가통합인증마크(KC) 기준을 개정해서 필요한 부분을 이행 중이다. LG화학은 2017년 난징산은 전부 교체하겠다고 밝혔고 삼성SDI도 그런 내용을 태스크포스(TF)를 통해서 조사하고 개선 방법을 고민 중이다. (업계의 조치를) 기다려봐야 할 것으로 본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