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분석…공급망 혼란 틈타 보호무역·국경통제 강화
'나라 봐가며 교류' 고심…"세계화는 인류본성, 배격 무의미" 주장도
![](https://img.yna.co.kr/photo/cms/2020/02/21/20/PCM20200221000220990_P2.jpg)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세계화에 대한 반감이 커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에서 시작된 이번 사태로 글로벌 공급망이 혼선을 빚는다는 점 때문에 지구촌은 세계화의 부작용을 다시 체감하고 있다.
각국의 제조업체, 도매업체들이 그간 중국에 얼마나 의존했는지 이번 사태로 뚜렷해진 것이다.
미국 신용평가업체 피치에 따르면 인도와 일본의 제조업계는 수입 전자 부품의 60%를 중국에서 들여온다. 미국이 수입하는 전자 부품의 절반가량도 중국산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중국의 공장 가동이 멈추면 그 여파로 다른 나라에서도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닛산은 부품 공급을 들며 일본 내 생산 중단을 선언했다. 현대자동차도 같은 이유로 지난달 한국 내 생산을 멈췄다.
닌텐도는 가정용 게임기 스위치의 미국과 유럽 배송을 연기해야 할 수도 있다. 베트남에 있는 제조 공장이 중국에서 핵심 부품을 공수해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0/03/06/PYH2020030608890001300_P2.jpg)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과도한 세계화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틈을 타 일부 국가는 반세계화 정책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는 미국이 대표적인 곳으로 거론됐다.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사태를 빌미로 기업들에 중국을 떠나라는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1월 "코로나19 때문에 북미지역으로 일자리가 더 빨리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피터 나바로 미국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도 "위기 때에는 동맹이 없다"며 해외로 빠져나간 공급망을 다시 가져와야 한다고 지난달 강조했다.
유럽에선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선 국경을 통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독일의 '독일을 위한 대안'(AfD), 프랑스의 국민연합(RN), 이탈리아의 동맹 등 각국의 극우 정당은 자국 정부가 전염병 창궐 와중에도 국경 통제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며 비판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세계화 전문가인 이언 골딘 교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기후 변화 등에서 이미 국가 간 자유로운 왕래·교류가 갖는 결함이 드러난 바 있다고 분석했다.
골딘 교수는 "국경 개방과 관련된 모든 두려움이 코로나19로 증폭되고 있다"며 "북미와 유럽에선 이제 다른 국가들과 선택적으로 교류하고자 하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설명했다.
![](http://img.yna.co.kr/photo/cms/2020/02/25/86/PCM20200225000086990_P2.jpg)
다만 NYT는 세계화를 거부하는 것이 세계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아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글로벌 공급망이 취약해진 큰 이유는 세계화 자체가 아니라, 제조업체들이 부품 재고를 충분히 확보해놓지 않는 관행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단기 수익을 중시하는 주주 이익을 우선시하다 보니 장기적 위험에 대비하는 대신 제품 생산 공정과 동시에 부품을 공수해온다는 것이다.
또, 세계화는 새로운 곳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성에 기반한 것이기에 이를 막으려는 시도는 무의미하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벨기에 싱크탱크 브뤼겔의 경제학자인 브마리아 데메르치스는 "사람들은 언제나 여행하고 교류하고자 할 것"이라며 "답은 장벽을 세우는 게 아니라 더 협력하고 정보를 투명하게 교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young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