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기간 감염원 노출' 확인해야…전문가 심층 논의 필요"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최대 잠복기로 알려진 14일을 넘겨 확진된 사례가 잇따라 나오면서 '잠복기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의 최대 잠복기가 14일을 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9일 의료계에서는 잠복기 논란보다는 감염된 뒤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무증상 감염'인지, 격리 기간에 다른 감염원에 노출된 것이 아닌지 등을 먼저 검토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센터장(서울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은 "확진자들은 14일 전(자가격리 전)에 감염됐지만, 증상이 없었던 사례일 수 있다"며 "증상이 명확히 있었다면 모르겠지만 증상이 없는 상태서 양성이 나왔다면 잠복기 논란이 아닌 '무증상 감염'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뿐 아니라 모든 호흡기감염증은 증상이 경미해 환자가 증상을 모르는 사례가 종종 있다"며 "감염된 뒤에는 14일이 지나서도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사례만 갖고 최대 잠복기 14일이 흔들리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전날 광주와 안산에서는 잠복기 14일이 지난 후 코로나19로 확진된 사례가 각각 보고됐다. 이들은 감염원에 노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14일간 격리됐는데, 이때는 증상이 없다가 이후 신천지 교인에 대해 이뤄진 진단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들이 격리 기간에 다른 감염원에 노출된 것은 아닌지 역학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잠복기에 대해 고민을 하기 전에 확진자들이 자가격리 기간에 코로나19 감염원에 노출된 것이 아닌지부터 확인해봐야 한다"며 "역학조사 결과를 보고 이 사례를 어떻게 볼 것인지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자가격리 기간에 노출이 없었는데도 14일을 넘어 발병한 사례라면 전문가들이 모여 확진자의 상태나 체내 바이러스 수치 등을 면밀하게 논의해봐야 한다"며 "잠복기는 단순히 사례 몇 개만 보고 바꿀 수 있는 건 아니고, 여러 사례를 두고 전문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잠복기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에도 3번 환자의 밀접 접촉자인 중국인 여성이 잠복기를 넘겨 확진돼 잠복기 논란이 불거졌다.
이 여성은 3번 환자와 마지막으로 접촉한 지 16일 만에 확진 판정을 받아 28번 환자가 됐다. 당시 방역당국은 이 여성이 진통제를 복용해 잠복기 중 증상 발현을 인지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판단했다.
aer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