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na.co.kr/photo/yna/YH/2020/03/19/PYH202003191506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금융위원회는 20일 금융안정위원회(FSB)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보 공유와 정책 수단 공조 강화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손병두 부위원장은 19일(한국시간) 컨퍼런스콜(전화회의)로 열린 FSB 운영위원회에서 이런 의견을 제시했다.
FSB는 주요 20개국(G20)이 참여하는 기구로, FSB 운영위는 주요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고위급 회의체다.
손 부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코로나19에 따른 시장 불안정을 최소화하려면 국가 간 공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FSB 차원에서 정보공유, 정책 수단 공조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신흥국의 자본 유출 규모가 급격히 커지는 등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 대해 각국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한국 등 주요국과 미국 간의 통화스와프를 통해 국제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해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은 전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600억 달러 규모의 양자 간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최소 6개월(2020년 9월 19일까지)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체결한 규모의 두 배다.
FSB는 국제증권위원회(IOSCO)와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 등 국제기준제정기구와의 긴밀히 협력해 코로나19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각국의 정책 대응 정보를 지속해서 공유하기로 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