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도 대중 수출 회복·반도체 업황 개선·기저효과 영향
'반짝상승' 그칠 수도…수급애로-생산차질-수요위축 '악순환'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에도 한국의 2∼3월 수출은 선방했다.
지난해보다 긴 조업일수로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고, 조업일수를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2개월째 감소했으나 하락 폭은 둔화했다.
하지만 이는 대중 수출 회복, 반도체 업황 개선,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이며 코로나19가 중국과 국내를 넘어 전 세계적인 악재가 되면서 한국 수출의 불확실성은 오히려 점점 커지는 상황이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 등에 따르면 한국 수출 증가율은 2월 4.5%로 15개월 만에 반등한 데 이어 이달 1∼20일에도 10.0%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아직 열흘 정도 남아 있긴 하지만, 전월보다 두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한국 수출이 증가로 돌아선 가장 큰 이유는 조업일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조업일수를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2월 11.7% 감소했고 3월 1∼20일 0.4% 하락했다. 다만,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했던 중국으로의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하락 폭은 크게 줄었다.
한국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25.1%에 달한다. 제품 10개를 수출하면 그중 4개는 중국으로 가는 셈이어서 대중 수출이 어떻냐에 따라 한국 전체 수출이 오르락내리락할 수 있다.
2월 대중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6.6% 줄어든 89억달러에 그쳤다. 특히 일평균 수출은 21.1% 급감했다.
중국 내 부품 또는 모듈 공장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으면서 자동차 수출은 16.6%, 디스플레이 수출은 21.8% 하락했다.
가장 먼저 코로나19 사태를 겪은 중국이 서서히 '일상의 정상화'를 찾아가면서 3월 1∼20일 대중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9% 늘었다.
중국 다음으로 큰 수출시장인 대미 수출은 2월 9.9%로 9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한 데에 이어 3월 1∼20일에는 27.2% 뛰었다.
업종 측면에서는 지난해 수출 부진의 가장 큰 요인이었던 반도체 수출이 개선되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반도체 수출은 2월 9.4% 증가했고 3월 1∼20일에는 20.3%로 상승 폭이 더욱더 가팔라졌다.
여기에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와의 비교인 만큼 기저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지난해 2월과 3월 수출은 전년 대비 각각 11.3%와 8.4% 감소하는 부진한 성적을 낸 바 있다.
하지만 약 두 달간의 수출 지표를 보고 한국 수출이 완전히 상승세를 탔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
코로나19가 지난해 12월 말 중국에서 시작해 2∼3월 초 한국으로 빠르게 퍼졌다면 3월 중순 들어서는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의 요인이 됐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1일(현지시간)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했다.
그 후에도 상황은 점점 악화해 주요 글로벌 기업의 공장뿐만 아니라 국내 자동차, 전자, 철강업계의 해외 공장도 현지 정부 방침에 따라 줄줄이 가동을 멈췄다.
한국은 내수보다는 무역에 크게 의지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체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입이 차지하는 무역의존도가 2018년 기준 70.4%에 달한다.
코로나19로 인해 공장이 멈춰 주요 소재·부품의 수입이 어려워지면 국내 생산에 차질을 빚고 어렵게 물건을 만든다고 해도 사줄 곳이 없는 악순환에 빠져들게 된다.
수출 체감경기도 7년여만에 최악으로 움츠러들었다.
한국무역협회가 국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에 따르면 2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는 79.0으로 7년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다음 분기 수출경기에 대한 국내 수출기업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표다.
국제유가 급락으로 수출여건이 악화한 석유제품(59.7)과 글로벌 공급과잉에 수요 감소 악재까지 겹친 철강 및 비철금속 제품(61.2)에 대한 전망이 특히 낮았다.
한국의 1, 2위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의 경제상황도 우울하다.
주요 경기예측기관은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대로 하향 조정했고,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올해 연간 성장률이 -3.1%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는 업황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공장 가동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생산이 차질이 발생할 수 있고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 수요 측면에서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코로나19가 확산할 경우 한국은 주요국의 중간재와 자본재 수요 감소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실질 GDP가 0.51∼1.02%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강성은 연구원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계적 유행으로 글로벌 수요 부진과 경기 불확실성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며 "수출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관련 기관이 그 어느 때보다 긴밀하게 정책적 공조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