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na.co.kr/etc/inner/KR/2020/03/24/AKR20200324057200097_01_i.jpg)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중국 지방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무증상 환자를 공식 통계에서 누락했다는 논란과 관련해 "무증상 감염자는 주 전염원이 아닐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후베이성 우한(武漢)시 위생건강위원회는 24일 홈페이지를 통해 무증상 환자의 전염성과 관련해 세계보건기구(WHO)를 인용해 "현재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주로 이미 증상이 있는 환자로부터 전염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우한시 당국은 다만 "무증상 감염자도 전염원이 될 수 있다. 일정한 전염 위험이 있다"고 언급하는 등 전염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았다.
앞서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3일 중국 정부의 기밀문서를 근거로 중국 공식 통계에서 빠진 무증상 환자가 4만3천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22일까지 발생한 중국 내 코로나19 확진자 8만1천93명의 절반에 해당한다. 이를 합하면 중국 내 코로나19 환자가 12만명을 훌쩍 넘어선다는 얘기다.
WHO는 증상이 없더라도 코로나19 검사 결과 양성 반응을 나타내면 확진자로 본다. 한국도 이 기준을 따른다.
우한시 당국은 무증상자를 확진자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 이유로 "(중국 치료지침에 따르면) 의심·확진 환자는 임상적인 증상이 있어야 한다"면서 "무증상 감염자는 그렇지 않아, 14일간 집중격리 후 다시 검사해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격리기간 증상이 나타나면 확진환자로 공개한다"면서 "소수의 무증상 감염자가 확진환자가 될 수 있지만 절대다수는 저절로 치료된다"고 주장했다.
우한시 당국은 "무증상 감염자는 주로 밀접접촉자 검사, 집단감염 조사 및 전염원 추적 과정에서 발견된다"면서 "마스크 착용, 거리 두기, 손 자주 씻기,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가지 않기 등이 가장 효과있는 예방법"이라고 말했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