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년 맞아 "어업인·소비자 인내심 한계…시설 현대화 병행"
![](https://img.yna.co.kr/etc/inner/KR/2020/03/24/AKR20200324075600030_01_i.jpg)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임준택 수협중앙회장이 24일 역점 사업으로 추진 중인 수산물 유통체계의 혁신과 관련해 "유통기반 시설의 현대화를 통한 하드웨어 강화와 동시에 기존 도매시장 거래체계를 바꾸는 소프트웨어 혁신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이날 배포한 서면 자료에서 "어업인도 소비자도 모두 불만을 토로하는 것이 현재 수산물 유통의 현실로, 양측의 인내심도 임계치에 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가격결정과 유통비용에 투명성이 떨어지면서 시장 주도권이 자본력과 유통망을 갖춘 일부에게 집중되고 수산물 유통에 대한 불신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임 회장은 "당장 가능한 혁신의 일환으로 도매시장 거래체계를 바꾸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경매 확대 및 정가수의매매의 축소, 도매시장의 실질 경매 중심으로의 전환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노량진수산시장에 대해서도 "현재 어업인을 위한 시장이라고 말할 수 없는 상태"라고 진단한 뒤 경매 방식 확대를 통한 유통비용의 절감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만족할 수 있는 해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장기적 과제로서 유통기반 시설의 현대화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을 받아 산지거점유통센터와 거점형 청정위판장 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도시 권역에는 소비자분산물류센터를 건립해 유통단계를 대폭 축소하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임 회장은 수산물 유통 및 판매 등 경제사업 혁신을 위해서는 "수산물 가공과 수출을 중점 육성해 수익구조를 개선하는 동시에 수산물 수요 확대를 꾀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수협은 올해 수산물 가공 연구와 제품 개발을 전담하는 수산식품연구실을 신설했다.
임 회장은 최근 연근해 수산자원 고갈 위기에 대해 "바다 환경 파괴와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등 여러 요인으로 어자원 감소세가 심각하다"며 "수입 수산물에 의한 국산 수산물 가격 교란이 심각한 데다 비효율적 유통구조까지 겹치면 수산업 전반이 침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는 휴어제 확대와 어선 감척, 해외 어장으로의 어선 분산, 양식어업 육성 등을 제안했다.
임 회장은 2028년까지 예정된 공적자금 상환 일정을 앞당기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당초 예정보다 빠른 속도로 공적자금을 상환하고 있지만, 더욱 속도를 내서 매년 1천억원 이상을 어업인을 위해 쓸 수 있는 사업구조로 조속히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