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와 전업으로 농가·농가인구 감소세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농촌에서 70세 이상 고령인구가 3명 중 1명꼴인 것으로 조사됐다.
젊은층 이탈로 65세 이상 비율이 전국 평균의 3배를 웃도는 등 농촌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19년 농림어업조사결과'를 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전국 농가는 100만 7천 가구, 농가 인구는 224만 5천명이다.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와 전업 등으로 전년보다 농가는 1만 4천 가구(1.3%), 농가 인구는 7만 명(3.0%) 줄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농가·농가인구 비율은 5.0%, 4.3%로 전년보다 각각 0.1%포인트(p), 0.2%포인트 하락했다.
연령별 인구 분포를 보면 60세 이상이 136만명으로 전체 농가의 60.6%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70세 이상은 전년(74만5천명)보다 8천명 늘어난 75만 3천명(33.5%)으로 역대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이어 60대 60만7천명(27.1%), 50대 37만9천명(16.9%) 순으로 많았다.
농가 인구는 70세 이상과 60대는 증가한 반면, 50대 이하에서는 모두 감소했다.
이런 영향으로 농가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전년(44.7%)보다 1.9%포인트 상승한 46.6%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 비율(14.9%)의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농가를 가구 유형별로 보면 2인 가구가 전체의 55.8%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19.7%), 3인 가구(13.2%) 순이었다.
전년보다 1인 가구·2인 가구는 증가했지만 3인 이상 가구는 감소했다.
농가당 평균 가구원은 2.2명으로 전년보다 0.1명 줄었다.
전체 농가의 57.9%는 전업 농가였지만, 42.1%는 겸업 농가였다.
농가의 경영 형태는 논벼(39.1%), 채소·산나물(22.8%), 과수(16.9%) 순으로, 전년 대비 식량작물 농가는 증가하고 약용작물, 채소·산나물 농가는 감소했다.
경지 규모별로 보면 1.0헥타르(㏊) 미만이 70만 5천가구(70.0%)로 가장 많았고, 3.0㏊ 이상 농가는 7만 7천 가구(7.7%)를 차지했다.
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연간 1천만원 미만인 농가는 65만8천 가구(65.3%)에 달했고, 1억원 이상인 농가는 3만 5천 가구(3.5%)에 그쳤다.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어가와 어가 인구는 각각 5만 1천 가구, 11만 4천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600가구(1.1%), 3천명(2.6%) 감소했다.
어가 비율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0.3%, 어가 인구 비율은 총인구의 0.2%였다.
어가 인구를 연령별로 보면, 60대가 28.9%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이 25.8%로 뒤를 이었다.
65세 이상 어가 고령 인구의 비율은 39.2%로 전년보다 2.9%포인트 상승했다.
수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어가는 2만1천300가구(41.9%)였고, 1천만∼3천만원은 1만2천200가구(23.9%), 1억원 이상은 7천가구(13.7%)였다.
임업 가구와 인구는 각각 8만 가구, 17만 8천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2.6%, 5.7% 감소했다.
임가 비율은 총가구의 0.4%, 임가 인구 비율은 총인구의 0.3%였다.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