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의장국 말레이시아 통상산업부 장관과 화상회의
![](https://img.yna.co.kr/photo/yna/YH/2020/04/06/PYH202004062091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이 20일 말레이시아 모하메드 아즈민 알리 신임 통상산업부 장관과 화상회의를 갖고 필수 기업인의 이동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유 본부장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철저한 방역과 함께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각국의 방역 조치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글로벌 공급망 유지와 기업인 등 필수인력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국가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과 말레이시아는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만큼 무역·투자 등 경제 교류의 필수적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 강화와 정책 공조에 앞장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국은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와 긴밀하게 협조해 APEC 차원의 공조도 확대 추진하기로 했다.
유 본부장은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 조업 중단·축소에 따른 생산 일정 차질, 원부자재 조달 어려움, 현금흐름 악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전달하면서 말레이시아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말레이시아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강력한 이동제한조치를 시행 중이다. 필수 재화와 서비스를 제외한 정부 기관, 개인 소유 사업장을 폐쇄했고 통상산업부 허가를 받은 기업만 최소 수준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유 본부장은 이동제한조치가 연장되면서 기업의 피해가 커지고 있으니 방역의 필요성과 경제적 피해의 최소화 간 균형을 위해 조업 허가 대상을 확대하고 조업 축소 기업을 지원해달라고 제안했다.
이외에도 양국은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이지만, 코로나19 이후의 경제회복을 위한 교역·투자 촉진을 위해 통상 협상이 계속 추진돼야 할 필요성에 공감하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차질 없이 연내 서명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