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 계속 벗겨벅으려고 바이든 당선에 필사적" 프레임 전면에
![](https://img.wowtv.co.kr/YH/2020-05-22/PYH2020050104440034000_P2.jpg)
(워싱턴=연합뉴스) 송수경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을 고리로 대중(對中) 공세를 높이는 것을 두고 지난 대선 당시 '반중(反中) 포퓰리즘' 득표 전략의 재판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워싱턴포스트(WP)는 2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공격이 대선 캠페인의 쟁점으로 내세운 메시지의 일환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16 대선 당시 반(反)중국 포퓰리즘 레토릭을 떠올리게 하는 언어를 구사하며 재선 캠페인을 가다듬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WP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19일 발언이 이러한 재선 전략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코로나19와 국제적 경제 상황 악화의 상관관계를 거론하며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경제적 독립성 및 공급망을 중국 및 다른 국가들로부터 미국으로 돌아오게 하는 문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중국 내 공급망을 해체, 리쇼어링(제조시설의 국내 복귀)에 박차를 가하는 것도 지난 대선 당시의 대표 슬로건이었던 '미국 우선주의'와 맞닿은 것이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공격에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실패론으로부터 관심을 딴 데로 돌리기 위한 차원이 깔렸다고 보인다고 전했다.
트럼프 캠프가 본선 맞상대인 민주당 대선후보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상대로" 중국에 지나치게 온건하다"는 점을 내세운 선거 광고 등에 열을 올리는 것도 이러한 재선 전략과 무관치 않다.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중국이 바이든의 승리를 원한다는 프레임을 전면에 내걸었다.
그는 전날 밤 올린 트위터 글에서도 바이든 전 부통령을 걸고넘어졌다.
그는 "중국은 엄청난 허위정보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며 "그들은 내가 나타나기 전까지 수십년간 그래온 것처럼, 계속 미국을 벗겨 먹을 수 있도록 대선에서 졸린 조 바이든이 이기는데 하는데 필사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중국의) 대변인이 그들의 나라가 전 세계에 퍼트린 고통과 대학살을 딴 데로 돌리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며 중국을 대신해 어리석게 말하고 있다"며 "중국의 허위정보와 미국과 유럽에 대한 선전 선동적 공격은 수치"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전염병을 쉽사리 중단시킬 수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오전에는 트윗을 통해 "중국의 어떤 또라이가 방금 수십만명을 죽인 바이러스에 대해 중국을 제외한 모든 이들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면서 "제발 이 얼간이에게 이러한 전 세계적 대규모 살상을 저지른 것은 다름 아닌 중국의 무능이라는 것을 설명 좀 해주라"며 막말까지 써가며 맹폭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강공 드라이브에 더욱 속도를 높이는 것은 코로나19 국면에서 미국 내 반중(反中) 정서가 한층 강화된 상황과도 상관관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전날 국무부 청사에서 진행한 언론 브리핑에서 중국을 맹공하면서 미국 국민 66%가 중국에 비우호적이라고 답한 퓨 리서치센터의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들어 "이는 중국 공산당의 선택에 따른 결과"라고 언급한 바 있다.
hanks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