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개월 만에 점유율 10%대로 떨어져…"요금·단말기 경쟁력 낮아"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5G 이동통신의 대중화와 통신비 인하에 한몫을 담당해야 할 알뜰폰의 부진이 1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두 자릿수 점유율조차 위협받으면서 소비자 선택 폭이 좁아지고 가계통신비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3월 알뜰폰 가입자 수는 756만3천580명으로 전월 761만1천640명보다 4만8천60명, 0.6%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4월 810만2천582명으로 최고치를 찍고서 같은 해 6월 한 달을 제외하면 거의 1년 가까이 매월 감소세가 이어진 결과다.
2018년 7월 이후 12%대를 유지해온 알뜰폰의 이통시장 내 점유율도 지난해 6월 11%대로 떨어졌고 급기야 올해 3월 10.9%로 11%선도 무너졌다.
알뜰폰 점유율이 10%대까지 떨어진 것은 2016년 10월 이후 41개월 만으로,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두 자릿수대 유지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알뜰폰의 최근 부진은 5G 서비스 대응 실패로 요약된다.
3월 기준 알뜰폰 5G 가입자는 754명에 불과하다. 이통 3사가 5G 고객 500만명을 돌파할 동안 알뜰폰은 5G 시장에 사실상 진입조차 못 하면서 고객을 속절없이 내주고 있다.
업계는 알뜰폰이 소비자를 끌어들일 만한 5G 요금제와 기기 모두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최근 들어 알뜰폰 업체마다 5G 요금제를 새로 내놨지만, 여전히 알뜰폰답지 않게 비싸다는 평가가 많다.
알뜰폰 업체들이 기존 통신 3사로부터 도매로 요금제를 공급받는 구조 상 통신 3사의 5G 요금에 알뜰폰 요금도 연동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LG유플러스[032640]를 시작으로 KT[030200]와 SK텔레콤[017670]이 도매 대가를 낮추기 시작했지만 이들 3사의 5G 요금 자체가 LTE보다 비싸진 만큼 알뜰폰 요금도 LTE 시절과 비교해 소비자 장벽이 높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렇다고 정부가 통신사에 요금 자체나 도매 대가 인하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권한도 없다.
여기에 여전히 5G 단말기가 LTE 단말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도 알뜰폰 업체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요금뿐 아니라 단말기 가격도 중시하는 알뜰폰 이용자 특성상 중저가 단말기를 자급제로 저렴하게 구매해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중저가 5G 단말기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이들 이용자를 끌어들일 요인이 없는 것이다.
여기에 통신 3사가 지난해부터 막대한 마케팅비를 투입해 5G 고객 쟁탈전을 벌인 것도 알뜰폰의 입지를 더욱 좁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렇지 않아도 5G 요금제가 비싸다는 불만이 많은데 알뜰폰마저 요금이 싸지 않고 단말기도 부족해 소비자 선택 폭이 크게 줄었다"며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획기적 정책 없이는 5G 활성화나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모두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