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르피가로 인터뷰 "부정적 측면 있지만 새 방식 신속채택 가능"
"코로나19 대처로 국가 브랜드이미지, 위상 강화 전망"
![](https://img.wowtv.co.kr/YH/2020-06-09/PYH2020052607430001301_P2.jpg)
(파리=연합뉴스) 김용래 특파원 =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프랑스 일간지 르피가로와 인터뷰에서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처과정에서 발휘된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으로 한국인의 단결과 인내심, '빨리빨리' 문화를 꼽았다.
코로나19 대처가 한국의 대외적인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한류'도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 장관은 9일자 일간 르피가로와 인터뷰에서 '코로나19가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강화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한국의 국제 신뢰도가 높아지고 위상도 강화될 수 있다"면서 "한류 이후 한국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수출, 특히 문화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의 코로나19 대처 노하우가 공유될 수 있기를 희망하지만, 세계 각국이 각자 다른 상황에 처해있으므로 우리 방식이 전 세계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박 장관은 '한국의 어떤 문화적 특성이 코로나19 대처 과정에서 발휘됐나'라는 질문에는 한국인들의 공동체 정신과 '빨리빨리' 문화를 꼽았다.
그는 "한국인들은 오랜 역사 속에서 공동체 정신과 인내의 정신을 터득했고, 현대화 과정에서 '빨리빨리' 문화가 만들어졌는데, 이는 서구 국가들보다 정치·경제적으로 뒤처졌기에 빨리 따라잡으려고 다른 여러 요소를 혼합해 발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빨리빨리 문화는 종종 부정적인 측면도 보이지만, 새로운 방식을 신속히 채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면서 이번에 도입된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코로나19 검사를 예로 들기도 했다.
프랑스 등 서구 국가들에서 표출된 한국의 감염자 동선추적 방식의 사생활 보호 취약 우려에 대해서는 국민의 동의에 따라 입법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감염병 대처와 국민의 사생활 보호는 모두 중요하며, 둘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것은 현재 코로나19에 당면한 정부들에는 도전 과제"라면서 "동선 추적은 국민적 동의에 근거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의 교훈에 따라 우리는 법을 개정해 감염자나 감염 의심자에 대한 정보 수집을 허용했는데 이는 국민의 동의에 따라 이뤄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법 조항이 공개가능 정보의 유형·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도 "그런데도 개인 정보들이 노출된 사례가 불행히도 있었다. 이런 경우 정부는 이분들을 최대한 보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yonglae@yna.co.kr
![](http://img.yna.co.kr/photo/yna/YH/2020/05/25/PYH2020052512410001300_P2.jpg)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