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기원' 조사한 공화당 TF 보고서 발간
"우한에서 작년 11월 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추정"
![](https://img.wowtv.co.kr/YH/2020-06-16/PCM20200602000099990_P2.jpg)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 세계보건기구(WHO) 지원을 전면 중단하고 모든 관계를 끊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생각과 달리 WHO 회원국으로 남아 내부개혁을 완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집권당 안에서 나왔다.
하원 외교위원회 소속 공화당 의원들은 15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초기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의 대응이 잘못됐다고 지적하면서도 이같이 제언했다고 CNN이 전했다.
공화당 내 중국 태스크포스(TF) 대표 마이클 매콜 의원은 "테워드로스 총장 휘하 WHO는 바이러스의 심각성을 알리는 내부 전문가의 경고조차 반복적으로 무시하고 중국 공산당의 선전만 앵무새처럼 흉내 내며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비난했다.
그는 코로나19 대응에 있어서 WHO의 대응에 좌절한 트럼프 대통령을 이해한다면서도 미국이 "(WHO) 회원국으로서 조직 내부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WHO 탈퇴를 만류했다.
그러면서 "(WHO에) 필요한 개혁안이 만들어지면 미국이 (WHO로) 복귀하는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한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말을 듣고 기뻤다"고 덧붙였다.
![](http://img.yna.co.kr/photo/reuters/2020/06/13/PRU20200613032801055_P2.jpg)
공화당 주도로 발간한 이 보고서는 미국의 WHO 잔류를 권하면서도 WHO의 코로나19 대응에 문제가 있었던 만큼 이를 조사하는 한편 테워드로스 총장이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매콜 의원은 "테워드로스 총장은 WHO 수장으로서 임무를 수행하지 못했다"며 "테워드로스 총장이 WHO를 이끄는 한 미국이 WHO에 자발적인 자금을 지원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의 기원을 조사한 이번 보고서는 코로나19가 거의 모든 대륙에 퍼져 수십만명의 목숨을 앗아가기 전 경고를 하지 않은 데에는 중국 정부에 엄청난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중순 전 세계에 전면적인 대응을 촉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었음에도 정부 관계자들은 그저 이 소식이 세상 밖으로 알려지는 것을 막는 데에만 급급했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이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지난해 11월 17일 우한(武漢)시에서 첫 코로나19 환자를 확인했고 11월∼12월 초 우한에서 바이러스가 퍼진다는 것을 인지했지만, 이를 국제사회에 알리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말에서야 우한에서 정체불명의 폐렴이 발생하고 있다는 징후를 알릴 때도 WHO에 직접 통보하지 않았으며, WHO 직원들이 인터넷 게시물을 보고 처음 인지했다고 보고서는 기술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0/06/11/PYH2020061111090034000_P2.jpg)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WHO 본부는 중국에 있는 WHO 사무소에 이러한 게시물이 사실인지 중국 정부에 확인하라고 지시했고, 당시 중국 측은 발병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이번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보좌관들은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위해 오픈 소스 자료들은 철저히 검토했으며, 국무부와 미국의 주요 동맹국으로부터 자문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runr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