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디지털화의 영향으로 향후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간 구분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연구원 세미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을 주제로 이렇게 발표했다.
이 연구위원은 "디지털화에 따라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간 장벽이 굳이 유지될 이유가 없어질 수 있다"며 "가계성 손해보험의 주된 담보 위험은 재산상 손실인데, 공유 경제로 재산(담보물) 소유가 무의미해짐에 따라 결국 남게 되는 위험은 피보험자(개인)의 상해와 배상 책임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위험을 결정짓는 개인의 특성조차도 초연결성과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로 실시간 수집·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현행 상법상 생명보험(인보험)과 손해보험의 계약 분류는 그대로 유지하더라도 보험업법상 구분은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속설계사는 디지털시대 판매 경로의 효율성 제고 과정에서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법인보험대리점(GA)은 불완전판매 등을 양산하는 설계사를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정예화한 설계사를 양성·유지하는 것이 유일한 생존 발전 전략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앞선 발표에서는 저성장·저금리·저출산 등 3저(低) 외에 디지털화 때문에 국내 은행의 경영 여건이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업의 발전 전략' 발표에서 "급격한 디지털화로 은행은 과거와는 다른 성격의 파괴적 변화를 경험할 것"이라며 "플랫폼 중심의 금융 거래가 확산하면서 자금중개 기관으로서 은행의 역할이 축소되고 새로운 경쟁자들이 고객과의 접점을 잠식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서 연구위원은 "3저 현상 같은 구조적 변화도 은행의 성장성·수익성을 상시 압박할 것"이라며 "이런 상황을 고려했을 때 고객과의 접점을 유지·확장하는 것이 은행의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은행들은 고객 중심 경영, 개방형 혁신, 리스크(위험)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규제 당국은 새 시장 질서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금융체계·질서의 안정성이 위협받지 않도록 규제 변화의 완급을 조절하고, 은행의 본질적 기능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