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6년간 총 17억원씩 지원…내년부터 석·박사 과정 운영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 경제학, 인문학 등 다방면에 역량을 갖춘 정책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서울대와 아주대를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신규 지원대학으로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두 대학은 앞으로 단계평가를 통해 최대 6년간(3+3년) 총 17억원을 지원받는다. 올해 하반기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 1학기부터 과학기술정책 관련 석·박사 학위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대는 영국 서섹스대학 과학정책연구부(SPRU)를 모델로 대학원 내 과학기술정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고, 세계적 수준의 전문가를 양성해 2026년까지 SCI와 SSCI급 논문 10편, KCI급 논문 30편 발표와 학술 콘퍼런스 5회 개최 등 목표와 계획을 제시했다.
아주대는 판교·광교·동탄 테크노밸리 등 지역 과학기술 클러스터와 연계한 산업 기반형 과학기술정책 핵심인재를 양성하고, 과학기술·그린기술·정보통신기술 등 정책분야별로 국내외 우수 교육·연구기관과 공동연구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과기정통부는 2011년부터 과학기술 정책전문가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1기(2011∼2017년)로 한양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UST가 지원받았고 현재 2기(2016∼2023년)로 충남대와 부경대가 지원받고 있다.
올해부터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이 전담기관으로 지정돼 각 대학의 성과지표 설정·관리와 사업추진방향 논의 등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할 예정이다.
![](https://img.wowtv.co.kr/YH/2020-07-07/PCM20191204000135990_P2.jpg)
jung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