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자료 활용한 불법 어로실태 조명 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다양한 위성기술 이용 "위치 발신 않는 선박도 추적 가능 입증"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북한 수역에서 선박 위치 확인 장치를 끄고 불법 어로를 해온 중국의 '검은 선단'이 과학기술 앞에 실체를 드러냈다.
국제 비영리단체 '글로벌 어로 감시'(Global Fishing Watch·GFW)에 따르면 국제 연구팀은 다양한 위성 자료를 종합해 북한 수역 주변에서 이뤄지는 검은 선단의 광범위한 불법 조업 실태를 조명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북한 내 검은 어선단 조명'(Illuminating Dark Fishing Fleets in North Korea)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중국 어선들이 2017년 900여척, 2018년 700여척이 북한 수역 내에서 조업하면서 16만t 이상의 오징어를 잡아갔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과 일본의 오징어 어획량을 합한 것에 육박하는 양으로, 액수로 따지면 약 4억4천만달러(5천25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으로 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채택한 제재 결의는 북한 내 외국의 어로를 금지하고 있다면서 중국 검은 선단의 조업은 이를 위반한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선박 간 충돌방지를 위해 위치를 항시 송신하게 돼 있는 '자동식별시스템'(AIS)과 금속 물체를 추적할 수 있는 '레이더 이미지', 밤에 조업하는 선박의 불빛을 포착해 어선의 위치를 잡아내는 '야간 이미징', 선박의 형태와 종류 등을 직접 확인하고 불법 조업 증거를 수집할 수 있는 고해상도 '광학 이미지' 등 4가지 위성 기술을 종합해 검은 선단의 실체를 파악했다.
논문 공동 저자로 참여한 박재윤 GFW 선임 데이터 분석가는 "(북한 수역에서) 불법 어로 활동을 하는 선단 규모는 중국 전체 원양어선단의 3분의 1을 차지한다"면서 "다른 나라 수역에서 이뤄진 단일 국가 어선의 불법 어로로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큰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남북한과 일본, 러시아의 영해가 맞닿아 있는 해역은 분쟁이 심하면서도 감시가 이뤄지지 않는 곳이라면서 다양한 위성으로 수집한 자료를 종합해 "불투명하기로 악명 높은 해역에서의 어로 활동을" 전례 없이 확고하게 파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GFW의 연구혁신 책임자이자 논문 공동 저자인 데이비드 크룻스마는 "이런 새로운 통찰력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가능하지 않았던 고해상도, 고출력 이미지의 증가와 기계학습의 진보로 가능하게 됐다"면서 "우리는 위치를 발신하지 않아도 상업적 어로를 하는 선박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이 파악한 검은 어선들은 중국에서 출항했으며, 중국 측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 어선들은 선박등록과 국기, 조업 허가 등이 없는 '3무 선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팀은 또 지난 2018년에 러시아 수역에 침범해 불법으로 조업한 북한 어선이 약 3천척에 달했다면서 북한 어선들이 "기업화한 중국 트롤 어선과의 경쟁에 밀려 러시아 수역으로 가게 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한의 소형 목선은 먼바다까지 나가기에는 장비가 열악해 최근 몇 년간 수백척이 일본과 러시아 해안에 표류하고, 일부 어촌마을에는 "과부촌"이 형성되고 있다면서 이런 원거리 조업의 결과는 심각하며 "걱정스럽고 점증할 수 있는 인권적 우려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한국과 일본 수역에서 각각 잡히는 오징어가 2003년 이후 각각 80%와 82%가 줄어들었다면서 검은 선단들이 오징어 어획 관리에 큰 위협을 제기하고 있지만 영해 범위에 대한 관련 국가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국가 차원의 공동 어획 관리를 방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수산연구·교육기구(FRA)의 미야하라 마사노리 회장은 "이번 연구와 다른 믿을만한 과학적 결과가 제공한 증거를 이용해 (불법 어로가 제기하는) 도전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주 울런공대학 국립 해양자원안보센터(ANCORS)의 쿠엔틴 하니치 부교수는 "국제 수산업계는 오랫동안 불필요한 비밀주의와 은폐 문화가 지배해 왔다"면서 "위성을 통한 감시가 핵심 해결책이며, 이번 분석이 새로운 해양 관리와 투명성 시대의 시작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논문을 주도한 GFW는 해양보호 환경단체 '오셔나'(OCEANA)와 환경관련 위성사진을 제공해온 스카이트루스(SkyTruth), 구글(Google) 등이 지난 2015년 어로활동 투명성 제고를 통해 바다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목적으로 창설된 국제 비영리단체로, 첨단 장비를 활용해 어로활동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eomn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