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새 1천만~4천만명 늘려 잡아…"빈곤국 부채탕감 해야"
![](https://img.wowtv.co.kr/YH/2020-08-21/PAP20200609003701055_P2.jpg)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탓에 세계적으로 1억명 이상이 극빈층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WB) 총재는 20일(현지시간) AFP통신과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대유행에 7천만~1억명이 극빈층에 떨어질 수 있다고 추산하면서 "상황이 지속하거나 악화하면 숫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극빈층은 하루 수입이 1.9달러(약 2천200원)를 밑도는 이들을 말한다.
맬패스 총재는 지난 6월 초 세계은행이 '세계 경제 전망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코로나19 때문에 극빈에 빠질 수 있는 인구를 6천만명으로 추산했는데, 약 3개월만에 1천만~4천만명 늘려 잡은 것이다.
세계은행은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개발도상국 100개국에 내년 6월까지 총 1천600억달러(약 189조4천억원)를 지원키로 하고 지난 6월까지 210억달러(약 24조8천억원)를 집행했다. 그러나 각국의 극빈층 증가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맬패스 총재는 부국들이 빈곤국 부채를 탕감해주는 게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주요 20개국(G20)이 최빈국들의 부채상환 의무를 올해 말까지 일시적으로 유예해주기로 했는데, 이런 만기연장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맬패스 총재는 "빈국들은 국민에게 사회안전망을 제공하기도 어려운 상황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 빚을 상환할 상황이 안 될 것"이라며 부채탕감을 통해 "(빈곤국에) 새 투자자가 들어올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금융사가 빈곤국 부채 만기 연장에 더딘 모습을 보이는 데 대해선 "실망스럽다"고 덧붙였다.
맬패스 총재는 "선진국 정부들이 자국서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치는 와중에도 개발도상국들을 후하게 지원하고 있다"면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공급시장'으로, 시장을 재개장하고 성장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jylee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