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서울·경기 매입 비중 각각 37%·30%로 조사 이래 최고
![](https://img.wowtv.co.kr/YH/2020-08-26/AKR20200826039100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서울·경기를 중심으로 30대 이하의 아파트 매수세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
26일 한국감정원 월별 매입자 연령대별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1만6천2건) 가운데 30대 이하의 비중은 36.9%(5천871건)로, 지난해 1월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30대 이하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강서구로 무려 46.6%에 달했다. 이어 성동구(46.2%)와 영등포구(43.8%), 관악구(41.9%), 서대문구(41.8%), 마포구(41.4%), 성북구(41.1%), 구로구(40.9%) 등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강남권에서도 높았다.
경기에서도 30대 이하의 아파트 매수세는 강했다.
지난달 경기 아파트 매매 건수(3만1천735건) 가운데 30대 이하의 매입 비중은 30.1%(9천543건)로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 아파트는 청약 당첨 가점에서 중장년층보다 불리한 젊은 층의 자가 구매 선호가 강한 편"이라며 "최근엔 서울 아파트값 급등에 따라 경기도 아파트로 매입 행렬이 전이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08/26/AKR20200826039100003_02_i.jpg)
중장년층과 비교해 소득 수준이 낮은 30대 이하의 주택 구매는 부모님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대부분 주택담보대출을 통해 이뤄질 수밖에 없다.
2018년 6월부터 올해 5월까지 30대의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액은 102조7천억원으로, 전체(288조1천억원)의 35.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최근 1년간 30대 이하가 빌린 대출금은 58조8천억원으로 직전 1년(43조9천억원)보다 15조원가량 늘었다.
무주택자인 직장인 이 모(39) 씨는 "계속되는 집값 상승으로 30대는 울며 겨자 먹기로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집을 사고, 이러니 시세는 계속 높게 유지될 수밖에 없다"며 "대출받을 여력조차 되지 않는 30대들은 또 한 번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30대 이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휩쓸려 주택을 매수할 가능성이 높은 층"이라며 "과거에도 30대 이하의 주택 구매는 부동산 활황기에 많아지고, 침체기에 적어지는 패턴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