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지지연설에 '공직자 정치금지법' 위반 논란
현직 국무장관 연설은 75년만…외교가 "수치스럽다"
![](https://img.wowtv.co.kr/YH/2020-08-26/AKR20200826086300009_01_i.jpg)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5일(현지시간) 열리는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연설자로 등장하는 것은 차기 대권을 염두에 둔 결정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폼페이오 장관은 현직 국무장관은 정당 정치를 멀리한다는 그간 관행을 깨고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트럼프 대통령 지지 연설을 하기로 하면서 '해치법'(Hatch Act. 공직자가 공무 중에 혹은 공직에 따른 권한을 동원해 정치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 위반 논란이 이는 상황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현직 국무장관이 전당대회에서 연설을 하는 것은 거의 75년 만이라면서 오랜 관행에 도전함으로써 그가 잃는 것보다, 2024년 대권 도전을 고려해 정치적으로 얻을 것이 더 많다는 판단을 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통령 역사학자인 마이클 베슐로스는 "그가 향후 대선 출마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전당대회에서 연설을 하기로 한 결정은 미국 역사의 중요한 관례를 깨는 대가로 자신을 대선을 향한 정치판으로 밀어 넣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이스라엘 수도 예루살렘을 방문 중인 폼페이오 장관은 사전 녹화된 영상에 출연하는 방식으로 전당대회에 등장할 예정이다.
그는 예루살렘 올드시티(구시가지)의 성지를 배경으로 연설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런 연출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보수 기독교 복음주의 계층을 공략하기 위한 의도로 읽힌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중재한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UAE)의 수교를 공개적으로 '칭송'하면서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구애'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폼페이오 장관의 연설을 놓고 전·현직 외교관들 사이에서는 "수치스럽다"는 반응이 나오는 상황이다. 공화당 내부에서도 11월 대선 이후 당 분열을 가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NYT는 전했다.
민주당은 해치법 위반 가능성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호아킨 카스트로(민주·텍사스) 하원의원은 폼페이오 장관이 연설을 준비하면서 국무부로부터 어떤 지원을 받았는지, 관련 자료를 제출하라고 국무부에 요청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해치법 위반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해 캔자스주 상원의원 출마를 저울질할 무렵 선거운동 차 캔자스주를 여러 차례 방문하면서 국무부 예산을 사용했다는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y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