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상생 정책 효과도 제한적…"가격 격차 줄여야"
(서울=연합뉴스) 홍유담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주요 화장품 브랜드의 오프라인 매장이 일제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업체들은 비대면 소비 수요가 증가하는 데 발맞춰 온라인 사업에 집중하고 있지만, 오프라인 가맹점을 고려하지 않아 폐점을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이 운영하는 로드숍 화장품 브랜드 더페이스샵의 매장은 지난해 말 598개에서 현재 551개로 줄었다.
에이블씨엔씨의 브랜드인 미샤의 매장은 같은 기간 550개에서 482개로 감소했다. 네이처리퍼블릭 매장은 521개에서 470개로, 토니모리는 517개가 487개로 각각 줄었다.
2018년 말 기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움 매장은 1천186개, 이니스프리 매장은 750개, 에뛰드 매장은 321개였으나 지금은 각각 880개, 546개, 170개만 남았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10대 소비자 유입과 K-뷰티의 세계적인 인기에 힘입어 한때 호황을 누렸으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로 중국 시장이 침체한 이어 코로나19 사태까지 일어나면서 위축됐다.
화장품 업계는 코로나19로 부진한 오프라인 실적을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사업을 확장하는 전략을 택했는데, 이는 고스란히 오프라인 가맹점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동일한 제품이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몰에서 더 저렴하게 판매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화장품 가맹점 주인들은 입을 모았다.
가맹점에 대한 제품 공급가는 일반적으로 제품 정가의 55%인데, 오픈마켓 등 온라인몰에서는 공급가보다도 싼 가격에 제품을 살 수 있어 경쟁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권태용 미샤가맹점주협의회장은 "소비자가 매장에 들어왔다가 휴대전화로 온라인 가격을 검색하고 그냥 나가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며 "코로나19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간 가격 격차가 큰 것이 매출 감소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그는 "한 매장은 지난해 평균 월 매출이 1천400만원이었지만, 올해 9월 매출은 120만원으로 떨어져 얼마 전 문을 닫았다"면서 "위약금 등을 물어내면서까지 폐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점주들은 본사가 온라인몰 공급가를 가맹점보다 낮게 책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지만, 본사는 온라인 판매 구조로 인한 문제라고 말한다.
한 화장품 본사 관계자는 "공급가는 가맹점이 온라인몰보다 저렴하다"면서 "다만 일부 오픈마켓 판매자들이 낮은 가격에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규제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화장품 본사들은 어려움을 겪는 가맹점을 위해 여러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최근 재고상품을 특별 환입하고 직영 온라인몰의 수입을 가맹점과 나누는 등 내용을 담아 총 60억원 규모의 상생 지원안을 내놨다. LG생활건강과 에이블씨엔씨, 토니모리도 직영 온라인몰의 수익을 가맹점과 공유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지난 3월과 7월에,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 3~4월에 가맹점 월세를 지원하기도 했다.
점주들은 본사의 상생 지원책을 환영하면서도 무엇보다 온라인과 가맹점 간 가격 차이를 줄이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승미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정책팀장은 "화장품 본사들이 직영몰에서 오프라인 매장보다 많은 할인이나 쿠폰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최근 공정위가 온라인 플랫폼과 입점업체 간 불공정 행위를 제재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본사와 가맹점 사이에도 이런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yd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