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에도 인종차별 반대 시위 진압에 동원돼
주 방위군 지휘관들 "경찰 지원…직접 투입되지 않을 것"
![](https://img.wowtv.co.kr/YH/2020-10-31/PGT20201031056601055_P2.jpg)
(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 = 미국 대선이 역대 어느 선거보다도 분열적인 양상을 보이면서 선거 결과 불복과 이에 따른 소요사태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소요사태가 발생 시 주 방위군이 투입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와 주목된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31일(현지시간) 지난달 신설된 주 방위군 '신속대응팀'이 '지역대응팀'으로 이름을 바꿨다고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지역대응팀 부대원은 약 600명이며, 앨라배마주와 애리조나주에 배치돼 있다.
웨인 홀 주 방위군 대변인은 이 부대가 경찰력을 추가로 신속하게 동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주 방위군 관계자는 새로운 이름이 지역대응팀의 임무를 잘 설명해주는 측면도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패배할 경우 결과에 승복하지 않을 가능성도 고려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50개 주와 워싱턴DC에 소속돼 주 당국의 지휘 아래서 자연재해나 시민소요사태 등에 대응하는 주 방위군은 연방정부의 권한이 강한 워싱턴DC에서는 연방정부의 명령에 따르기도 하며, 다른 주나 해외로 파견되기도 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0/31/AKR20201031051800009_01_i.jpg)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세인트존스 교회'를 방문해 '성경 사진'을 찍기 위해 백악관 인근 라파예트 광장에서 인종차별 반대를 외치던 시위대를 병력을 동원해 강제로 해산한 바 있다.
당시 육군 소속 군사용 헬기 블랙호크(UH-60)와 의료·수송 등 재난 임무에 투입되는 라코타헬기(UN-72)가 시위대 위에서 저공비행을 하며 위협을 가해 거센 비판을 받기도 했다.
린지 콘 미 해군대학 교수는 "대선 후에 소요사태가 발생하면 주 방위군은 주지사의 명령을 따를 것"이라면서 "(소요가) 정치적이거나 폭력적일수록 주 방위군은 더욱 필요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콘 교수는 워싱턴DC의 상황은 훨씬 유동적이라면서 "지난 6월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한번 주 방위군 파견을 요청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주 방위군 관계자들은 시위나 소요사태 진압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테네시주 주 방위군 부관참모인 제프 홈스 육군 소장은 "주 방위군은 시위가 발생할 경우 경찰력이 부족하지 않도록 교통정리 업무를 지원하게 된다"고 말했다.
위스콘신주 주 방위군의 로빈 블레이더 육군 준장은 "주 방위군이 소요 사태 대응에 동원되는 일은 없을 것이며, 경찰과 소방당국이 나서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0/31/AKR20201031051800009_02_i.jpg)
honk0216@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