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살아나도, 저유가로 총수입 부진
![](https://img.wowtv.co.kr/YH/2020-11-11/PYH2020110517050005700_P2.jpg)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올해 우리나라의 무역액 1조 달러 달성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코로나19 장기화와 미중 무역 갈등 여파로 세계 교역 여건이 악화하면서 수출과 수입 모두 예년만 못한 탓이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10월(잠정치) 수출액과 수입액을 더한 무역액은 7천980억 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기간(8천715억 달러)보다 735억 달러, 8.4% 감소했다.
수출액은 4천158억 달러, 수입액은 3천822억 달러였다.
올해 연간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돌파하려면 11∼12월 무역액이 2천20억 달러를 넘어야 한다. 지난해 11~12월 무역량은 1천741억 달러였다. 남은 두 달간 최소한 작년 실적을 훨씬 뛰어넘어야 한다는 의미다.
우리나라는 2011년 처음으로 연간 무역액 1조 달러를 돌파한 뒤 4년 연속 기록을 이어갔으나 2015년과 2016년에는 달성에 실패했다. 그러나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 1조 달러 기록을 세웠다. 올해는 현 추세라면 1조 달러 수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0/11/05/PYH2020110517040005700_P2.jpg)
최근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는 것은 그나마 긍정적이다. 올해 수출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며 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하다 9월에서야 7.6% 증가로 돌아섰다.
10월에는 다시 3.6% 감소했지만, 총수출액은 9월 480억 달러에 이어 450억 달러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400억 달러를 웃돌았다.
수입액은 코로나19 이후 큰 폭의 감소세를 이어가다 9월 1.6% 증가로 돌아선 뒤 지난달에는 다시 5.8% 감소했다. 총 수입액은 지난 3월 418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줄곧 400억 달러를 밑돌고 있다.
우리나라 수입액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유·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수입액이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탓이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수출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지만,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넘으려면 수출과 동시에 수입도 함께 늘어나야 한다"면서 "최근 저유가 기조 등을 고려했을 때 1조 달러 달성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6월 한국은행도 올해 우리나라 무역 규모를 9천500억 달러로 전망했다.
정부도 1조 달러 달성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 두 달이 남은 만큼 수출입 실적을 섣불리 예단하기는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fusionj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