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공단, 업계 간담회에서 처음 공개
업계 "모듈 제조 공정에 높은 기술력 필요…통계 반영해달라"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올해 국내 태양광 설비에 사용된 국산 셀 비중이 20%대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80%의 상당 비중은 중국산으로 추정된다.
국내 업체들은 이 셀을 수입해 조립한 뒤 '국내산 모듈'로 판매한다. 국내법상 원산지 표시 위반은 아니지만, '무늬만 국내산'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업계는 국산 셀 물량이 모듈 물량과 비교해 턱없이 적어 수입할 수밖에 없고, 모듈 제조공정에도 상당한 기술이 필요해 이런 지적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은 18일 "국내 태양광 모듈에 들어간 국산 셀 점유율은 2018∼2019년 최소 50% 수준이었으나, 올 상반기에는 최소 20%대로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날 태양광 업계가 참가한 가운데 열린 '태양광 셀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간담회'에서다.
공단 측이 국산 셀 점유율을 공식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산 셀 점유율이 급락한 이유는 중국 업체들이 자국 보조금 축소에 따라 셀 생산 물량을 수출로 밀어낸데다, 신재생에너지공급 인증서(REC) 가격이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REC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하자, 상대적으로 값싼 중국산 셀로 수요가 몰렸다.
한화, LG 등 국내 대기업이 미국 세이프가드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에 모듈 공장을 신설하면서 국내산 셀이 지난해 말부터 미국공장으로 수출되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국내 업계의 셀 생산능력은 국내 수요량의 배인 7.3GW 수준인데도, 국산 셀 물량이 부족한 이유다.
실제로 우리 기업들은 국내 판매보다는 프리미엄 셀·모듈에 대한 수요와 판매 단가가 높은 미국·유럽 시장 등으로의 수출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양광 업계는 국산 셀 물량 부족 등으로 중국산 셀을 수입해 모듈을 생산하는데도, 일각에선 마치 원산지 표시를 위반한 것처럼 몰아가거나, 수입산 셀을 사용한 모듈을 저품질 제품으로 깎아내리고 있다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고품질 모듈 생산에 힘써온 우리들로서는 매우 억울한 심정"이라며 "모듈 제조공정은 단순 조립공정이 아니다"라고 항변했다.
모듈 제조 과정에서 셀 간격 최소화, 양면형 등 효율손실 저감 기술이 중요해짐에 따라 모듈 제조과정에 대한 부가가치가 50%가 넘는다는 설명이다.
예컨대 한 회사는 셀을 수입한 뒤 셀과 셀 사이 간격을 없애는 '싱글링'이란 기술을 적용한 고출력 블랙 모듈을 생산, 가공해 한국산으로 미국에 수출 중이다.
업계는 국산 모듈 통계를 단순히 셀·모듈 제조국 기준으로만 구분할 게 아니라 국내에서 제조된 모듈의 가치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개선해달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지난 7월부터 '저탄소 태양광모듈 인증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국산 셀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국내 설비를 일부 증설하거나,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저탄소 태양광모듈 인증 제도는 저탄소 생산공정에서 출하된 제품에 대해 여러 가지 혜택을 주는 제도다.
에너지공단 측은 "국산 태양광 모듈 제조국에 대해 일부 오해가 발생해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업계 의견을 반영해 한국산업표준(KS) 인증심사기준을 개정해 모듈, 셀의 제조국 및 제조사 표시를 의무화하고 KS 인증 전산시스템을 개선해 셀 제조사 및 제조국을 등록, 관리토록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fusionj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