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및 청소년 지원·지구 보존도 의제…일각에선 '사우디 인권문제' 비판

(카이로=연합뉴스) 노재현 특파원 =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이 21∼22일 회의를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 세계적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
'모두를 위한 21세기 기회 실현'을 주제로 한 G20 정상회의는 코로나19 때문에 화상으로 개최되고 살만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주재한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회원국 정상들이 참석한다.
1999년 창설된 G20의 회원국들은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 세계 경제 생산의 약 80%를 각각 차지한다.
이번 회의의 최대 관심사는 지구촌을 강타한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는 국제 협력이다.
G20 의장국인 사우디 정부는 지난 16일 성명으로 G20 정상회의를 통해 코로나19 위기에서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회복을 위한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AFP 통신에 따르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17일 G20 정상들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G20은 개발도상국들이 (코로나19)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세계적인 경기 후퇴가 불황이 되지 않도록 막는데 더 과감한 조처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극빈층 급증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G20의 추가적인 채무 면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한편, 일부 국가들이 코로나19 백신을 선점하려는 '백신 민족주의'에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 여성과 청소년이 품위 있게 살고 일하는 조건 창출 ▲ 식량, 물 안보, 기후 등과 관련한 지구 보존 노력 ▲ 혁신과 기술 발전의 이점을 공유하기 위한 전략 채택 등도 논의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필수인력의 국경 간 이동 원활화를 비롯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강조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G20이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을 제안할 예정이다.
앞서 G20 정상들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올해 3월 화상회의를 통해 '코로나19에 관한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코로나19에 대한 국제적 대응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아랍권에서 유일한 G20 회원국인 사우디는 이번 회의를 개최함으로써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를 기대한다.
사우디 실세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의 산업 구조를 다변화함으로써 탈(脫)석유 시대를 준비하고 여성의 권리 증진과 사회 참여 확대를 축으로 하는 프로젝트인 '비전 2030'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의를 앞두고 사우디의 인권 문제가 다시 국제사회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휴먼라이츠워치(HRW) 등 국제인권단체들은 최근 G20 국가들을 향해 사우디가 불법적으로 수감 중인 활동가들을 풀어주도록 압박할 것을 촉구했다.
또 일부 인권단체들은 각국 정상들이 G20 회의에 참석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noj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