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견제 동참 염두 해석도…주미 공사 "미중 갈등은 많은 나라에 도전"
"한국은 중국 요인도 고려…미국의 리더십 필요"
![](https://img.wowtv.co.kr/YH/2020-12-04/PCM20201112000096990_P2.jpg)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변덕근 특파원 = 마크 내퍼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는 3일(현지시간)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의 공통점을 강조하며 양국 협력 강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동남아 국가와 협력 증진을 목표로 한 신남방정책과 달리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은 반중 전선 구축에 방점을 찍어 한국의 중국 견제 동참을 염두에 둔 것으로도 해석된다.
내퍼 부차관보는 이날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과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공동 주최한 한미 경제 파트너십 관련 주제의 화상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신남방정책의 3대 기둥인 평화, 사람, 번영은 개방, 포용, 투명, 좋은 지배구조, 국제표준 존중 등 인도태평양전략의 원칙에 완전히 부합하는 것이라며 "이는 우리의 인도태평양전략을 신남방정책과 더 잘 조율하려는 노력의 기초를 형성하는 분야"라고 말했다.
또 "지금까지 훌륭한 성공을 거뒀다. 우리는 정말로 이를 키우고 확대하길 고대한다"며 개방과 투명한 시스템 등을 재차 거론한 뒤 "우리는 이를 증진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퍼 부차관보는 모두발언에서 한미관계가 성공에 성공을 거듭하고 있다며 "정말 자랑스러운 관계"라고 한 뒤 "앞으로 몇 달, 몇 년 후에도 계속 성장하면서 역내 가장 강력한 최고의 동맹 중 하나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은 미국 액화천연가스의 1위 수입국, 미국 석유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 중 하나라며 "우리가 한국에 에너지 안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도 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2/04/AKR20201204004000071_01_i.jpg)
세미나에 참석한 문승현 주미대사관 정무공사도 한미관계 심화와 협력 증진 필요성에 공감을 표시했다. 다만 한국 입장에선 중국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미국이 역내 문제에서 좀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문 공사는 한중일과 아세안 국가가 최근 서명한 역내포괄경제동반자협정(RCEP), 미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참여 논란 등을 언급한 뒤 "미국이 역내 경제구조에 좀 더 관여하길 바라고, 우리는 이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과 관련해선 "이는 한국을 포함해 많은 나라에 많은 도전을 만들 것"이라며 "한미가 이 문제에 관해 솔직하고 전략적 대화를 통해 서로 좀 더 관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문 공사는 신남방정책이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지만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은 미국 주도라는 전략적 측면도 강조한다며 "딜레마는 지리경제학과 지정학의 두 측면을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이 동남아에서 매우 강력하고 활동적이라고 한 뒤 한국이 미국과 협력하면서 중국이 이곳에서 어떻게 활동하는지 볼 필요가 있고 한미 양국이 일본과도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중국과의 경쟁과 관련해 일종의 기술무역블록 필요성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모든 경제가 중국과 가진 상호 연계성을 고려할 때 얼마나 실현 가능할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문 공사는 "한미가 지역의 경제와 무역 질서 재건에 더 많이 공헌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미국의 리더십이다. 미국의 새 행정부가 이 논의에 좀 더 관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