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총수 있는 55개 대기업집단 혼맥 분석
부모세대 보다 자녀세대 오너 집안 결혼 비중 증가…'부의 대물림'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국내 대기업 오너 자녀세대의 절반 이상이 다른 대기업과 결혼을 통한 '혼맥'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세대보다 자녀 세대의 대기업간 혼맥은 더욱 늘어난 반면, 정·관계 가문과의 혼인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https://img.wowtv.co.kr/YH/2020-12-16/AKR20201215160600003_01_i.jpg)
16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총수가 있는 55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경영에 참여했거나 참여 중인 부모와 자녀 세대의 혼맥(이혼, 재혼 포함)을 분석한 결과, 총 317명의 오너일가 가운데 다른 대기업 가문과 혼인한 비중이 48.3%(153명)로 절반에 육박했다.
부모 세대의 대기업간 혼사가 46.3%(81명)였다면, 자녀 세대에선 50.7%(72명)로 절반을 넘었다.
이에 비해 정·관계 집안과의 혼사는 부모세대가 28%(49명)로 대기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던 반면 자녀세대에선 7%(10명)로 크게 떨어졌다.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는 "과거의 '정경유착'보다는 대기업간 혼인을 통한 '부의 대물림'이 심화했다"고 분석했다.
대신 대기업이 아닌 일반 가문과의 결혼 비중은 부모세대가 12.6%(22명)였으나 자녀세대는 23.2%(33명)로 증가했다.
기업인에 대한 정·관계 입김이 상당했던 과거와 달리 갈수록 영향력이 줄면서 혼맥의 필요성이 낮아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한화그룹의 3세 김동관 한화솔루션[009830] 대표는 사내 연애를 통해 만난 일반인 정 모씨와 지난해 결혼했고, 셀트리온[068270] 서준석 이사도 올해 일반인 여성과 혼인했다.
최근 김대헌 호반건설 대표는 전 SBS[034120] 아나운서 김민형씨와,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은 올해 7월 교육자 집안의 여성과 혼인했다.
이에 비해 서경배 아모레퍼시픽[090430] 회장의 장녀 서민정씨는 10월 홍석준 보광창업투자 회장의 장남 홍정환씨와 결혼식을 올려 재벌가 혼맥을 이어갔다.
재벌가 혼맥은 GS그룹와 LS그룹이 각 8곳으로 가장 많았다. GS그룹은 금호석유화학을 비롯해 세아, 태광, LIG, 벽산[007210], 아세아[002030], 삼표, 부방[014470] 등과 사돈이 됐다.
LS그룹은 두산[000150], 키스코홀딩스, OCI[010060], BGF[027410], 천일여객, 사조, 현대자동차[005380], 삼표 등의 대기업과 결혼으로 연을 맺었다.
s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