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악화에 사업소득 감소·근로소득 찔끔 늘어…공적이전소득은 역대 최대 증가
가구 평균자산 4.5억원…상위 20% 자산이 하위 20%의 7.2배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지난해 경기 악화로 가구소득 가운데 자영업자의 사업소득이 줄어들고, 근로소득도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가구의 평균소득 증가율이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저소득층의 가구소득이 크게 늘었지만, 이는 근로·사업소득이 줄었음에도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지원하는 '공적이전소득'이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로 늘어난 영향이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1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하위 20% 가구 소득, 평균보다 크게 증가…'공적이전소득 효과'
지난해 가구의 평균소득은 5천924만원으로, 1년 전보다 1.7% 증가했다.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3천791만원으로 0.3% 늘었으나, 사업소득은 1천151만원으로 2.2% 감소했다. 공적이전소득은 457만원으로 전년보다 18.3%나 증가해 통계 작성 후 최대폭 늘었다.
근로소득 비중은 64.0%로 전년보다 0.9%포인트 줄었고, 사업소득 비중은 19.4%로 0.8%포인트 감소했다.
가구소득을 분포별로 보면 1천만∼3천만원 미만 구간에 24.7%로 가장 많이 몰려 있었다. 그 다음이 3천만∼5천만원 미만(20.9%)이었다.
소득은 최저층인 1분위부터 최고층인 5분위까지 전반적으로 늘었다. 이는 기초연금 인상, 근로자녀장려금·양육수당 확대 등 각종 정부 지원이 늘어난 영향이다. 특히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1천155만원)이 전년보다 4.6% 늘어 평균 증가율(1.7%)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소득(1억3천903만원)은 1.1% 증가해 평균 증가율을 밑돌았다. 소득 5분위 가구의 소득점유율은 전년보다 0.3%포인트 줄어든 46.9%였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30대 이하(4.7%), 임시·일용근로자(3.9%)의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자영업자 가구는 2.3% 증가에 그쳤다.
가구주의 연령대별 평균 소득은 40대 7천648만원, 50대 7천549만원, 30대 이하 5천935만원, 60대 이상 3천989만원이었다.
종사상 지위별 평균 소득은 상용근로자 가구 7천958만원, 자영업자 가구 6천519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 3천704만원 순이다.
소득 5분위별 소득 구성비를 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가장 큰 비중(42.8%)을 차지했다. 소득 2분위 이상에서는 근로소득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소득 1분위 가구는 전년보다 공적이전소득(13.0%)과 재산소득(8.8%)이 크게 늘었으나, 근로소득(-5.2%), 사업소득(-1.7%)은 줄었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비소비지출은 1천106만원으로 0.7% 늘었다. 특히 공적연금·사회보험료(353만원)가 4.3%나 증가했고, 이자비용(195만원)과 세금(357만원)은 각각 0.8%, 0.7% 늘었다.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천818만원으로 1.9% 늘어났다.
올해 3월말 기준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81.5%였다. 예상 은퇴연령은 68.1세이지만, 올해 3월말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18.5%)의 실제 은퇴 연령은 63.0세로 훨씬 빨랐다.
노후 준비가 잘된 가구는 8.2%에 불과했다. 반면 잘 되어 있지 않은 가구는 38.9%, 전혀 준비가 안 된 가구는 15.9%였다.
◇ 부동산 활황에 가구 실물자산 큰 폭 증가…저축액은 첫 감소
올해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4천543만원으로 1년 전보다 3.1% 늘었다.
거주 주택 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실물자산(3억4천39만원)은 4.3%로 더 큰 폭으로 늘었다.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은 76.4%로, 비중이 0.9%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금융자산(1억504만원)은 0.6% 줄었으며, 특히 금융자산 가운데 저축액(7천632만원)이 전년보다 3.1% 줄었다. 저축액이 줄어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조사 시점인 지난 3월 말 코로나19로 인해 주식, 펀드 평가액이 많이 떨어져 저축액이 줄었다"고 말했다.
소득 5분위의 자산은 9억8천54만원에 달해 전년보다 3.6% 증가했다. 소득 5분위 자산은 1분위(1억3천629만원)의 7.19배에 달했다.
자산 증가율은 2분위(7.3%)와 1분위(3.7%)가 높았던 반면, 3분위(1.7%)와 4분위(1.1%)는 평균 증가율(3.1%)을 밑돌았다.
다만 통계청은 "소득 하위층인 1,2분위의 자산 증가율이 높은 것은 (금융자산으로 잡히는) 전월세 보증금이 크게 오른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50대(5억903만원)의 평균 자산이 가장 많았다. 증가율로는 30대(3억5천467만원)가 8.7%로 가장 높았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자영업자의 보유자산(5억6천357만원)이 가장 많았다.
올해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자산에서 부채(8천256만원)를 뺀 순자산은 3억6천287만원으로 전년보다 2.9% 늘었다.
전체 가구의 62.3%가 3억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했고,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7.2%였다.
가구주는 여유자금 운용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47.1%)를 가장 선호했다.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 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52.8%였다.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