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IPO 청약 증거금 300조 몰렸다…작년의 3배

입력 2020-12-20 06:07   수정 2020-12-20 15:47

올해 IPO 청약 증거금 300조 몰렸다…작년의 3배




(서울=연합뉴스) 김태종 박원희 기자 = 올해 기업공개(IPO) 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개인 투자자들이 몰리며 '광풍'이 불었다.
수조원에서 수십조원의 청약 증거금이 몰리는 종목들이 잇따라 나오면서 올해 전체 IPO 시장에서는 약 300조원이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6일 나노 소재 기술 기업 석경에이티(23일 상장)를 마지막으로 올해 IPO 시장은 막을 내렸다.
올해 신규 상장한 기업은 총 76곳(기업 인수·합병 스팩 제외)으로, 공모금액 5조7천억원에 청약 증거금은 총 295조5천억원이 몰렸다.

100조원이 되지 않았던 2019년(76곳)과 2018년(78곳)의 3배가 넘는 수준으로, 증거금에 대한 공식 통계는 없지만 역대 가장 많은 규모라는 평가다.
우리나라 주식시장 시가총액 2위 SK하이닉스[000660](86조2천억원)부터 6위 네이버(46조4천억원)까지 시총을 합친 것(18일 기준, 291조)보다 많다.
내년도 우리나라 전체 예산(558조원)의 절반이 넘는다.
5조원 이상이 몰린 종목만 12개였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종목에 불과했다.
카카오게임즈[293490]에는 무려 58조5천억원이 몰렸고 빅히트도 58조4천억원의 증거금을 끌어모았다. SK바이오팜[326030] 역시 30조9천억원이 몰렸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역대 최대 청약 증거금은 2014년 12월 제일모직의 30조원이었다.
그러나 카카오게임즈와 빅히트, SK바이오팜은 나란히 역대 최대 증거금 1∼3위를 꿰차 IPO의 새 역사를 썼다.

[표] 2020년과 2019년 IPO 시장 비교
┌──────┬──────┬──────┬──────┬───────┐
│연도│ 신규상장 │ 공모금액 │ 공모금액 │5조 이상 종목 │
├──────┼──────┼──────┼──────┼───────┤
│ 2020년 │76개│ 5.7조│ 295.5조 │ 12곳 │
├──────┼──────┼──────┼──────┼───────┤
│ 2019년 │76개│ 3.5조│ 96.8조 │ 1곳 │
└──────┴──────┴──────┴──────┴───────┘
※ 기업 인수·목적회사 스팩 제외

1주라도 잡기 위한 경쟁률도 치열했다.
카카오게임즈는 1천524대 1, 빅히트는 607대 1, SK바이오팜은 323대 1를 기록했다.
지난 7월 청약한 피부미용 의료기기업체 이루다[164060]의 경쟁률은 무려 3천39대 1, 지난 8월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 개발업체인 영림원소프트랩[060850]은 2천500대 1에 이르는 등 1천대 1을 넘는 종목들도 쏟아졌다.
이처럼 IPO 시장이 큰 흥행몰이를 한 것은 사상 최저 금리 등으로 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서 지난 6월 청약한 SK바이오팜의 성공이 도화선이 됐다.
SK바이오팜은 공모가가 4만9천원이었으나, 상장 직후 주가는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며 한 때 20만원을 넘기도 했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우리한테 익숙한, 공룡급 회사들이 들어와 초반에 열풍을 일으키면서 입소문 효과가 크게 났다"며 "여기에 유동성이 워낙 많다 보니 직접투자를 꺼리는 자금들이 공모주 투자로 몰렸다"고 분석했다.
실제 SK바이오팜 이전 상장한 종목은 13개, 이후 종목은 62개에 달했다.
이같은 올해 IPO 시장 열기는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게임업체 크래프톤, 백신 전문기업 SK바이오사이언스, 카카오[035720] 계열사인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카카오페이지, LG화학의 배터리 사업이 독립한 LG[003550]에너지솔루션 등이 내년 IPO를 추진하고 있다.
taejong75@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