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말 잔액 101조, 6월말보다 6.7%↓
![](https://img.wowtv.co.kr/YH/2020-12-29/C0A8CA3C0000015B51F3976E0016D85E_P2.jpeg)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증시 호조로 지난 3분기에 파생결합증권(ELS·DLS)의 조기상환이 늘었다.
29일 금융감독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은 100조9천억원으로, 6월 말보다 6.2% 감소했다.
발행액(16조원)은 1.3%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상환액(22조1천억원)이 66.2% 급증한 결과다.
금감원은 글로벌 증시 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하는 상황에서 향후 지수 조정에 따른 손실을 예상한 투자자의 파생결합증권 수요가 위축되면서 조기상환에 비해 신규발행이 정체됐다고 분석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2/28/AKR20201228140600002_03_i.jpg)
종류별로 보면 주가연계증권(ELS·ELB)의 3분기 발행액은 9조8천억원으로, 2분기보다 7.5% 줄었다. 상환액은 186.3% 많은 14조6천억원이었다.
원금보장형 발행액은 1조7천억원으로 2분기 대비 65.3% 감소했지만, 원금비보장형 발행액은 8조1천억원으로 42.1% 증가했다.
그중 원금보장비율이 80% 미만인 고난도 ELS 발행은 7조7천억원으로, 2분기보다 45.3% 증가했다. 전체 발행액 중 78.8%를 차지한다.
S&P500, 유로스톡스50, 홍콩H지수 등 글로벌 주요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잔액은 2분기보다 줄었지만, 코스피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의 발행잔액(23조4천억원)만 2.6% 증가했다.
지난 7월 발표된 정부의 파생결합증권 시장 건전화 방안 중 레버리지 비율 산정 시 국내지수 ELS에 대한 가중치 추진 방침에 따라 관련 ELS의 발행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2/28/AKR20201228140600002_04_i.jpg)
3분기 DLS 발행액은 6조2천억원이었다. 원금 보장형 발행액은 4조4천억원으로 46.7% 증가했지만, 원금비보장형은 1조8천억원으로 21.7% 감소했다.
DLS 상환액은 2분기보다 8.5% 감소한 7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자체 헤지규모는 줄었다. 9월말 기준 58조4천억원으로, 석달 전보다 8.6% 감소했다. 비중도 59.4%에서 57.8%로 1.6%p 줄었다.
금감원은 "3월 글로벌 증시 급락 과정에서 발생한 ELS 마진콜 사태를 경험하면서 대형사 위주로 자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익은 투자자의 3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3.1%(연평균), DLS는 1.3%였다. 2분기 대비 각각 0.5%p, 0.9%p 늘었다.
증권회사의 발행·운용 손익은 3천685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분기보다 4천82억원이 늘었다. 글로벌 증시 상승으로 조기 상환이 활발해지고 증권사들의 헤지자산 거래 여건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금감원은 풀이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