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 사전에 '최소한 인력 배치' 방침
WSJ "기존 강경 대응 기조와 사뭇 달라"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미 국회의사당이 6일(현지시간) 시위대에 속수무책으로 뚫리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당국의 부실 대응이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
이미 예고된 시위인데도 당국이 시위대 규모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한 채 소수 인력만 배치한 것이 결정적 패착이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연방정부 당국자들은 이날 시위에 앞서 "비교적 소규모이자 최소한의 현장 배치"를 계획했다고 복수의 법 집행 당국자들이 말했다.
이는 지난해 곳곳에서 불거진 충돌 사태 여파를 감안해 이날 시위 현장에서 자칫 긴장이 불거지는 상황을 차단하려는 목적이었다고 이들은 덧붙였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 수천명이 이날 의사당으로 몰려들었고, 이중 일부는 손쉽게 바리케이드를 뚫고 의사당에 난입하면서 당국의 이같은 대비책은 실패로 돌아갔다고 WSJ는 지적했다.
연방수사국(FBI) 출신인 한 인사는 "의회 경비대가 시위대 규모 자체에 대비하지 못했다"면서, 특히 시위대에 바리케이드가 뚫린 뒤에는 인원이 수적으로 열세에 몰려 제때 대응할 수 없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국방부는 당초 350명 정도만 배치하면 의사당 측을 지원하는 데 충분할 것으로 봤으며, 이마저도 교통 통제 위주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의사당에서 군 인력이 목격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의사당에서 일정 범위 안으로 접근하는 것도 차단됐다.
그러다 시위대에 의사당이 뚫리자 국방부는 1천100명의 주 방위군을 추가로 투입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실제로 의사당에 배치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WSJ은 전했다.
이에 따라 이날 대응이 그간 트럼프 행정부가 시위 현장에서 강경 기조를 고수해온 것과 현격히 다르다고 WSJ은 꼬집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인종차별 반대시위에 연방 인력을 종종 투입했으며, 6월에는 백악관 근처에서 평화 행진을 하던 시위대에 최루 가스를 터트려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의회 경비대는 의원과 의사당 건물 등을 지키는 연방 기관으로, 1천900명 정도로 구성됐다.
이들이 맡는 상황은 현장을 감시하고 사건을 수사하는 일반 경찰보다는 미미하지만 9.11 테러 이후 순위가 상향됐다고 WSJ은 전했다.
newgla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